[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조회 수 4552 추천 수 0 2012.02.20 09:23:40

국립국어원에서는 '탕비실'을 '준비실'로 다듬어서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또 한 주가 밝았습니다.
일터에 나오다 보니 날씨가 풀렸다는 것을 몸으로 느낄 수 있더군요.
이번 주도 재밌고 즐겁게 보내자고요. ^^*

지난주 금요일에 보내드린 편지가 '사위스럽다'였습니다.
그 안에 '장사갈등'이라는 낱말을 소개했었습니다.
그걸 보시고 한 분이 
'장서(丈壻)갈등'으로도 쓴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조금 전에 네이버 뉴스에서 '장서갈등'을 검색하니 704건이 나오고,
'장사갈등'을 넣고 검색하니 23,703건이 나오네요.
'장사갈등'이라고도 쓰고 '장서갈등'이라고도 쓰나 봅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그 편지에서 제가 '막내'를 '막네'라고 썼습니다.
꼼꼼히 본다고 보는데도 그런 실수가 있습니다.
자주 드리는 약속이지만 앞으로 더 꼼꼼하게 보겠습니다.

오늘은 '탕비실'을 알아보겠습니다.
회사 같은 데 가면 차를 끓여내고 설겆이하는 곳을 '탕비실'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는 그런 낱말이 없습니다.

한자로 湯沸室이라 쓰는데요. 왠지 일본말 같기에 일본에서 우리말 편지를 받아보시는 김은복 님께 여쭤봤더니
아니나다를까 일본에서는 쓰는 말이라고 합니다.
湯沸室이라 쓰고 [유와카시츠]라고 읽는다고 합니다. 
회사에서 차를 마시고 싶을 때 물을 끓이기 위한 부엌같은 공간을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탕비실'을 '준비실'로 다듬어서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있다/없다 띄어쓰기]

봄비가 내리네요.
농사에 도움이 되고 산불방지에도 도움이 돼 좋지만,
꽃잎이 많이 떨어지겠네요. 

오늘은 있다/없다의 띄어쓰기를 말씀드릴게요.

먼저 '없다'.
'없다'는 형용사로 띄어 씀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어이없다, 쓸데없다, 아낌없다, 거리낌없다, 가량없다, 가없다, 다름없다, 느닷없다, 끊임없다, 틀림없다, 상관없다, 거침없다, 변함없다, 빠짐없다, 힘없다, 어림없다, 아랑곳없다, 맛있다, 멋있다, 버릇없다, 문제없다, 수없다...(아이고 숨차...)는
순 우리말과 결합하여 한 낱말로 된 경우는 붙여씁니다. 
'있다'도 마찬가집니다.

이것도 쉽게 사전에 있으면 붙여 쓰고, 사전에 없으면(곧, 한 낱말이 아니면) 띄어 쓴다고 보시면 쉽습니다.

이럴 때 저는 우리말이 살아 있음을 느낍니다.
재밌죠?

'재밌죠'는 '재미있죠'의 준말인데요.
'재미있죠'가 맞을까요, '재미 있죠'가 맞을까요? 

'재미있다'가 사전에 올라있는 한 낱말이므로, '재미있죠'라고 붙여 쓰는 게 맞습니다.

그동안 띄어쓰기를 하면서 열심히 달려왔네요.
이제 어느정도 감이 오죠?
이번 주에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쓰고,
품사(동사, 명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쓰되, 조사만 붙여 쓰고,
한 낱말인지 아닌지는 사전에 올라 있으면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게 띄어쓰기의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83
356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46
355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48
354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50
»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52
352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54
351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55
350 [2013/09/06] 우리말) 자랑합니다 머니북 2013-09-09 4559
349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4563
348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65
347 [2010/01/18] 우리말) 우리는 내일이 없는 민족? id: moneyplan 2010-01-18 4576
346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579
345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80
344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583
343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586
342 [2016/09/29] 우리말) 미역국 먹다에는 슬픈 역사가... 머니북 2016-11-01 4586
341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592
340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594
339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595
338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599
337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