펴고 접을 수 있어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리는 것을 '우산'이라고 합니다.
우산은 雨傘이라는 한자인데요. 이 우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 있다고 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온 글자라고 합니다.
그 글자가 뭔지를 맞히시는 게 오늘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일터에 나오다 보니 이슬비가 내리더군요.
요즘 가뭄이라서 올 농사가 걱정이라고 합니다.
나다니기는 좀 어려워도 농사를 생각하면 비가 좀 내리면 좋겠습니다.

우리말 편지는 하루에 두 꼭지를 보내드립니다.
하나는 그날 아침에 쓴 것이고, 밑에 예전에 보낸 편지는 5~6년 전에 쓴 편지를 복습 삼아 붙인 겁니다.
어제 예전에 보낸 편지에 '거밤한톨좀줘봐'가 있었는데, 그 답을 보내주신 분이 많으시네요. 
몇 년 전에 보낸 편지인데...

오늘은 진짜 문제를 내볼게요. 선물을 드리는 진짜 문제. ^^*
비가 내리지 않아서 걱정이라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비가 오기를 비는 뜻으로 오는 문제를 냅니다.

펴고 접을 수 있어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리는 것을 '우산'이라고 합니다.
우산은 雨傘이라는 한자인데요. 이 우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 있다고 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온 글자라고 합니다.
그 글자가 뭔지를 맞히시는 게 오늘 문제입니다.

맞히신 분 가운데 광화문 가까이에 계시는 분과는 내일 점심을 같이하고자 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거 밤 한 톨 좀 줘 봐]

어제 말씀드린,
'거밤한톨좀줘봐'의 띄어쓰기는,
한 자 한 자 모두 띄어 써야 합니다.

거 : 대명사. '거기'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처소격 조사 '에'와의 결합형은 '게'로 나타남. 거, 누구요. 게 아무도 없소?
밤 : 명사. 밤나무의 열매
한 : 관형사.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톨 : 의존 명사. 밤이나 곡식의 낱알을 세는 단위
좀 : 부사. 부탁이나 동의를 구할 때 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삽입하는 말
줘 : 동사. '주다'의 활용으로 '주어', '줘', '주니'로 활용
봐 : 동사. '보다'의 활용으로 '보아', '봐', '보니'로 활용

위에 나온 이유로,
'거 밤 한 톨 좀 줘 봐'처럼 모두 한 자 한 자 띄어 써야 맞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데 드는 시간은 하루 1분이면 충분하다는 텔레비전 광고가 생각납니다.
신문도 던져주고, 길 건너시는 할머니 손도 잡아드리고 하는 광고 있잖아요.
저는 오늘 그 1분을 어떻게 써야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는데 힘을 보탤 수 있을까요?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70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277
1436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381
1435 [2007/11/20] 우리말) 낙엽은 진 잎으로... id: moneyplan 2007-11-20 3382
1434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382
1433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3382
1432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382
1431 [2009/09/0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09 3383
1430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383
1429 [2015/04/07] 우리말) 본디와 본시 머니북 2015-04-07 3383
1428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3384
1427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384
1426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385
1425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385
1424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386
1423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386
1422 [2014/02/17] 우리말) 높은 난이도? 머니북 2014-02-17 3387
1421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388
1420 [2014/03/12] 우리말) 남의나이 머니북 2014-03-12 3388
1419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3389
1418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390
1417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