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08] 우리말) 초콜릿

조회 수 3424 추천 수 0 2012.03.08 08:30:15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ㅈ이나 ㅊ과 함께 ㅛ, ㅠ, ㅕ를 쓰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말에서도 잘 가를 수 없는 소리를 외래어를 적으면서 가르기는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이 많아 좀 일찍 일터에 나왔습니다.
새벽에 한 건 끝내고 잠시 틈을 내서 편지를 씁니다.

어제는 일터 일로 오랜만에 제주도에 다녀왔습니다.
비록 아침에 갔다가 오후에 오는 것이긴 했지만,
그래도 애들 줄 초콜릿은 사왔습니다. ^^*

다른 나라에서 쓰는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우리말로 된 게 외래어입니다.
그 외래어는 적는 기준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외래어표기법입니다.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ㅈ이나 ㅊ과 함께 ㅛ, ㅠ, ㅕ를 쓰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말에서도 잘 가를 수 없는 소리를 외래어를 적으면서 가르기는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보기를 보면,
가와 갸는 소리를 쉽게 가를 수 있지만,
조와 죠는 소리가 거의 같아 쉽게 가를 수 없습니다.
주와 츄도 소리가 거의 같습니다.

그래서 외래어를 적을 때,
쵸콜릿이 아니라 초콜릿이라 써야 바르고,
쥬스가 아니라 주스가 맞으며,
텔레비젼이나 비젼이 아니라 텔레비전이나 비전이라 써야 합니다.

우리말을 쓰시면서,
어떻게 쓰건 뜻만 통한다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그건 도둑질을 하건 나쁜 짓을 하건 돈만 벌면 된다는 생각과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아침에 전철에서 읽은 책에 이런 월이 있었습니다.
진심을 담아서 얘기를 했다 하더라도 상대가 오해를 할 수 있습니다. 
상처가 없으면 꼬집어도 아프지 않지만, 상처가 있으면 누가 어루만져줘도 '아야!'하는 소리가 나옵니다.(최성애 박사의 행복수업 82쪽)

오늘도 말조심하면서 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복스럽다/안쓰럽다]

요즘 제 아들 녀석이 지독한 감기로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세상 밖에 나온 지 이제 겨우 열 달 된 녀석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니, 안쓰럽기 그지없더군요.
대신 아파 줄 수만 있다면...

오늘은 제 아들 감기가 빨리 떨어지길 빌며 우리말편지를 쓰겠습니다. 

"(일부 명사 뒤에 붙어)'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스럽다'가 있습니다.
복스럽다[복쓰럽따]. 걱정스럽다[걱쩡스럽따]. 자랑스럽다[자랑스럽따]처럼 쓰죠.

이와 달리,
"손아랫사람이나 약자의 딱한 형편이 마음에 언짢고 가엾다."는 뜻으로,
'안쓰럽다[안쓰럽따]'는 낱말이 있습니다.
구걸하는 어린 소녀의 모습이 안쓰럽다. 아내의 거친 손을 보니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처럼 쓰죠.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이,
'복스럽다'의 '-스럽다'와,
'안쓰럽다'의 '쓰럽다'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것입니다.

'복스럽다'의 '스럽다'는,
'복'이라는 명사 뒤에 '-스럽다'가 붙어,
"모난 데가 없이 복이 있어 보이다"는 뜻이지만,

'안쓰럽다'는,
'안타깝다'의 '안'에 '-스럽다'가 붙어,
'안스럽다'가 된 게 아니라,
'안쓰럽다' 자체가 하나의 낱말입니다.

따라서,
제 아들이 감기로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
'안스럽다'고 하는 게 아니라 '안쓰럽다'고 해야 맞습니다.
제 아들 감기가 빨리 떨어지길 빌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16
1316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417
1315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416
1314 [2010/10/08]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 moneybook 2010-10-08 3416
1313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416
1312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416
1311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3416
1310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416
1309 [2013/08/08] 우리말) '우편 번호' 띄어쓰기 머니북 2013-08-08 3415
1308 [2013/06/14]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3-06-14 3415
1307 [2015/11/16] 우리말) 은근과 은근히 머니북 2015-11-16 3414
1306 [2015/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머니북 2015-11-12 3414
1305 [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id: moneyplan 2009-03-23 3413
1304 [2007/08/09] 우리말) 임용되다와 임용하다 id: moneyplan 2007-08-09 3413
1303 [2015/03/31] 우리말) 파머 가뭄 지수 머니북 2015-03-31 3412
1302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3412
1301 [2007/12/13] 우리말) 신 김치와 쉰 김치 id: moneyplan 2007-12-13 3412
1300 [2007/11/15] 우리말) 비리와 비위 id: moneyplan 2007-11-15 3412
1299 [2007/08/13] 우리말) 고추 이야기 id: moneyplan 2007-08-13 3412
1298 [2013/01/08] 우리말) 휴마트 머니북 2013-01-08 3411
1297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