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12] 우리말) 꽃샘과 잎샘

조회 수 4206 추천 수 0 2012.03.12 09:12:46

'잎샘'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봄에 잎이 나올 무렵에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거나 그런 추위를 뜻하므로 
'꽃샘'과 같은 뜻입니다.
'꽃샘추위'와 마찬가지로 '잎샘추위'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내일까지는 꽃샘추위로 무척 추울 거라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꽃샘추위는
꽃 피는 것을 시샘하는 추위로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에 오는 추위를 뜻합니다.
실은 '꽃샘'이라고만 해도 
이른 봄, 꽃이 필 무렵에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거나 그런 추위를 뜻하므로 
'꽃샘추위'를 '꽃샘'이라고만 해도 말이 됩니다.

'잎샘'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봄에 잎이 나올 무렵에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거나 그런 추위를 뜻하므로 
'꽃샘'과 같은 뜻입니다.
'꽃샘추위'와 마찬가지로 '잎샘추위'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봄이 오면 거의 모든 식물에 싹이 돋고 꽃이 핍니다. 꽃보다 잎이 먼저 나오므로 '잎샘'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그러나
봄을 상징하는 매화와 개나리는 잎보다 꽃이 먼저 피니 이를 보면 '꽃샘'이라 하는 게 더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 ^^*

세상에는 흰색도 있지만 검은색도 있습니다. 그리고 회색도 있습니다.
나와 다르다고 해서 다 틀린 게 아닌 거죠.
오늘은 나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을 챙겨주는 그런 하루로 살고 싶습니다.
굳이 잎과 꽃을 두고 잎샘과 꽃샘을 따지지 않고...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인구에 회자되다]

비가 오면 비가 온다고 먹고,
날씨가 좋으면 날씨가 좋다고 먹고...
목요일은 목이 터지게 먹어야 한다고 먹고,
금요일은 금방 먹고 또 먹어야 한다고 먹고...
기분이 좋으면 좋다고 한 잔,
기분이 나쁘면 나쁘다고 한 잔...
지구상에 있는 술을 몽땅 마셔버려야 더 먹자는 말을 안 하겠죠? 
오늘 금요일인데......

오늘은 술안주와 관련 있는 '회자'를 소개드릴게요.

회자(膾炙)는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입니다.
'인구에 회자되는 명시(名詩)'처럼 쓰죠.

여기에 나온 '회(膾)'는 생선회가 아닙니다.
"소의 살코기나 간, 처녑, 양 따위를 잘게 썰어 갖은 양념을 하여 날로 먹는 음식"인 '육회'를 말합니다.

'자(炙)'는,
구운 고기를 뜻하는데, 이것도 생선이 아니라 돼지고기나 소고기 구운 것을 말합니다.

'회'나 '자' 모두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이죠. 

'회자'는 중국 고사에서 나옵니다.
당나라 때 어떤 총명한 어린이가 시를 지었는데,
그 시가 워낙 뛰어나고 좋아서,
많은 사람이 읊조리고 다녔다고 합니다.
이처럼 그의 시가 여러 사람의 입에서 떨어지질 않았다는 데서,
'인구에 회자되었다'는 말이 나오게 된 거죠.

그 후로,
사람들이 육회와 불고기를 좋아해 자주 먹듯이,
훌륭한 글이나 좋은 이야기 따위가 사람들의 입에 널리 퍼져 오르내리는 것을 가리킬 때,
'인구에 회자된다'는 표현을 씁니다.

그나저나,
저는 언제쯤 '회자'되어볼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0
996 [2010/05/07] 우리말) 거시기와 머시기 id: moneyplan 2010-05-07 3294
995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67
994 [2010/05/04] 우리말) 나들가게 id: moneyplan 2010-05-04 3344
993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3193
992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3282
991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533
990 [2010/04/28]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10-04-28 3219
989 [2010/04/27] 우리말) 잊다와 잃다 id: moneyplan 2010-04-27 3511
988 [2010/04/2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id: moneyplan 2010-04-26 3265
987 [2010/04/23] 우리말) 종자의 소중함과 라일락 꽃 id: moneyplan 2010-04-23 3340
986 [2010/04/22] 우리말)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id: moneyplan 2010-04-22 3748
985 [2010/04/21]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10-04-21 3450
984 [2010/04/20] 우리말) 병해충과 병충해 id: moneyplan 2010-04-20 3226
983 [2010/04/19] 우리말) 튤립과 튜울립 id: moneyplan 2010-04-19 3412
982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666
981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902
980 [2010/04/14] 우리말) 듯싶다 id: moneyplan 2010-04-14 3346
979 [2010/04/13] 우리말) 발자욱과 발자국 id: moneyplan 2010-04-13 3489
978 [2010/04/12] 우리말) 두째와 둘째 id: moneyplan 2010-04-12 4103
977 [2010/04/09]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id: moneyplan 2010-04-09 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