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27] 우리말) 먼산바라기

조회 수 3232 추천 수 0 2012.03.27 11:09:23

그래서 '먼산바라기'라고 하면
먼 곳만을 우두커니 바라보는 일. 또는 늘 그런 사람을 뜻합니다.
한눈을 파는 짓도 먼산바라기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느지막이 일터에 나오니 참 좋네요.
그래도 일터에서 책상에만 앉으면 다시 힘들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이렇게 피곤하고 힘들 때는 밖에 나가 하늘을 보거나 먼 산을 바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해바라기'가 뭔지 아시죠?
해를 따라 바라보면서 돌아가는 꽃이라서 '해바라기'라고 합니다.
그래서 '먼산바라기'라고 하면
먼 곳만을 우두커니 바라보는 일. 또는 늘 그런 사람을 뜻합니다.
한눈을 파는 짓도 먼산바라기라고 합니다.

'바라기'가 붙은 낱말에 '개밥바라기'도 있습니다.
[개밥빠라기]라고 읽는 이 낱말은
저녁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이르는 말입니다.

'바라기'만 두고 보면 
음식을 담는 조그마한 사기그릇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바라보다'라는 움직씨의 이름꼴로 '바라기'를 쓸 수 있으므로,
해바라기, 먼산바라기라는 낱말이 이루어질 수 있나 봅니다.

사전에는 없지만,
너만 바라본다는 뜻으로 '널바라기'나
책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책바라기'라는 낱말을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

저는 오늘 집에 가서 막내딸 볼 생각으로 '퇴근시간바라기'가 되어보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비행기 값/비행기 삯]

며칠 전에 제주도를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비행기를 탔죠. 

어제 친구와 그 이야기를 하다가,
친구가 "요즘 비행기 값이 얼마지?"라고 묻더군요.
제가 하는 말이, "글쎄, 잘은 몰라도 1억 원이 좀 넘지 않겠어?"

친구가 저를 이상하게 보더군요.
전 잘못한 게 없는데...

아마 그 친구는,
비행기 타는 데 드는 돈이 얼마 인지를 저에게 물은 거였을 겁니다.
그렇다면,
비행기 값이 얼마냐고 물을 게 아니라, 비행기 삯이 얼마냐고 물었어야 합니다.

"어떤 물건이나 시설을 이용하고 주는 돈"은 '삯'이고,
"물건을 사고팔 때 주고받는 돈"이 '값'이거든요.
따라서,
'비행기 삯'은 비행기를 타는데 드는 비용이고,
'비행기 값'은 비행기 한 대를 사는데 드는 이용이죠.

비행기 값이 얼마인지는 모르지만,
제주도 가는 비행기 삯은 8만 원이 조금 넘더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8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20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33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90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693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03
2671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19
2670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22
2669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25
2668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28
266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35
266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37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47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50
2663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65
2662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65
2661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66
2660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69
2659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769
2658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770
2657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