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문제를 하나 낼게요.
수레바퀴 끝의 휘갑쇠나
송곳을 이루는 쇠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뉴스를 들으니
'서울 윤중로 벚꽃 절정'이라는 꼭지를 뽑았습니다.
거기에 
다음 주 월요일까지 벚꽃 축제를 하므로 
봄기운을 만끽하라고 친절하게 안내해주시네요.

저라면,
'서울 윤중로 벚꽃 절정'
'여의 방죽길 벚꽃 활짝'이나, '여의 방죽길 벚꽃 한창'이라고 쓰겠습니다.

저라면,
'봄기운 만끽(滿喫)'이라 쓰지 않고,
'봄기운 마음껏 즐겨'라고 쓰겠습니다.

아마도
이제는 축제를 잔치나 한마당으로 하자거나,
윤중로를 여의 방죽길로 하자거나,
만끽을 갈음하여 마음껏 즐겨라고 쓰자는 저의 말씀이
지겨우실 수도 있습니다.
하도 여러 번 드린 말씀이라서요.

그러나 저는 지금처럼 꾸준히 외칠 겁니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기에 오히려 맘 편하게 외칠 수 있습니다. ^^*
우리 문화를 사랑하고 우리말을 잘 살려 쓰자는 생각을 꿋꿋이 지키고 나가겠습니다. 

오늘은 문제를 하나 낼게요.
수레바퀴 끝의 휘갑쇠나
송곳을 이루는 쇠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좀 뚱겨 드리자면,
사람은 처음 먹은 마음을 꿋꿋이 지켜가는 줏대가 있어야 합니다. ^^*

밖에 벚꽃이 활짝 피었네요.
봄기운 만끽하시기 바랍니다.
아니, 봄기운 맘껏 즐기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기지바지?]

며칠 전에 온 공문 중에,
'하절기 간소복 차림 근무'가 있네요.

상의는 정장, 콤비, 점퍼 따위를 입되,
넥타이는 매지 말고,
하의는 정장바지나 면바지 따위를 입되,
색상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해도 된다네요.
덕분에 오늘 넥타이 매지 않고 그냥 출근했습니다.

바지 중에 '기지바지'라는 게 있죠?
면바지가 아니라 천으로 만든 양복바지...(맞나요? )

그 '기지'가 실은 일본어에서 왔습니다.
일본어 きじ[기지]는 옷감을 뜻합니다.
그중에서도 양복 옷감을 말하죠.
따라서, 양복 옷감 '기지'로 만든 펄렁펄렁한 바지가 '기지바지'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에 보면,
'기지(&일kiji)「명」'천'으로 순화'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제는 '기지바지'라는 낱말을 안 쓰시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35
976 [2008/03/13] 우리말) 해송은 곰솔로... id: moneyplan 2008-03-13 3444
975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444
974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443
973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443
972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443
971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443
970 [2016/11/22] 우리말) 장도 머니북 2016-11-22 3441
969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441
968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441
967 [2012/10/30]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 머니북 2012-10-30 3440
966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440
965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440
964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439
963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438
962 [2012/12/06] 우리말) 이면도로 머니북 2012-12-06 3438
961 [2010/11/08] 우리말) 첫과 첫눈 moneybook 2010-11-08 3438
960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438
959 [2008/04/19] 우리말) 미스킴과 라일락 id: moneyplan 2008-04-21 3438
958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438
957 [2014/07/28] 우리말) 일찍이 머니북 2014-07-28 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