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23] 우리말) 너섬둑길

조회 수 3481 추천 수 0 2012.04.24 14:21:24

먼저 여의도는 너섬이라는 우리말을 일제시대에 한자로 바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의방죽길 보다는 너섬둑길로 하는 것이 가장 우리말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식구와 같이 양평에 있는 휴양림에 다녀왔습니다. ^^* 

지난주에 여의도 윤중로 벚꽃축제를 
'여의 둑길 벚꽃 잔치'나 '여의 방죽길 벚꽃 잔치'로 바꾸는 게 좋을 것 같다는 편지를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편지를 보시고 이대성 님께서 아래 편지를 보내오셨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합니다. 


먼저 여의도는 너섬이라는 우리말을 일제시대에 한자로 바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의방죽길 보다는 너섬둑길로 하는 것이 가장 우리말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이제 이번 주에는 벚꽃이 다 지겠죠? 
벚꽃이 지기 전에 멋진 꽃 구경하시면서 눈과 마음을 맑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승부욕/승리욕]

내일이죠? 우리나라와 토고가 월드컵 첫 경기를 하는 날이...
우리 편이 이기길 빌면서 오늘 편지를 씁니다.

우리 선수들이 토고를 꼭 이기겠다는 '승부욕'이 강해,
이번 경기는 별 탈 없이 이길 텐데, 가능하면 큰 점수 차로 이기는 게 중요하다고 하네요.

운동 경기에서 상대방을 꼭 이기겠다는 마음가짐을 흔히 '승부욕'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틀린 말입니다.

욕심 욕(慾) 자가 들어간 낱말은,
권력욕, 명예욕, 출세욕, 소유욕 따위가 있는데,
이는 모두 '욕'앞에 나오는 것을 이루려는 강한 의지의 뜻으로 쓰입니다.
권력욕은 권력을 잡으려는 욕심이고,
명예욕은 명예를 얻으려는 욕심이죠.

이렇게 보면,
승부욕은 말이 안 되는 게 금방 보입니다.
승부는,
이길 승(勝) 자와 질 부(負) 자를 써서, 
'이김과 짐'을 뜻하고,
그 뒤에 욕심을 뜻하는 '욕'자를 붙이면,
'이기고 지려는 욕심'이라는 뜻이 되는데, 당최 말이 안 되잖아요.
'승부욕'이 이기려는 욕심일까요, 지려는 욕심일까요? 

'승부욕'은 없습니다. 
그런 낱말은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이기려는 욕심이나 그러한 강한 의지를 뜻하려면 '승리욕(勝利慾)'으로 해야 합니다.
승리하고자 하는 욕심, 곧, 이기고자 하는 욕심이죠.
그러나 실은 '승리욕'도 국립국어원 사전에는 올라있지 않은 단업니다.

'승부욕이 강해'는,
'꼭 이기겠다는 의지가 강해'로 바꾸면 어떨까요? 

내일, 우리나라 축구선수들이,
꼭 이기겠다는 강한 의지로 토고 국가대표 선수를 꺾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03
1536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732
1535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731
1534 [2008/06/02]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03 3731
1533 [2012/11/20] 우리말) 이 프로그램은 19세 미만의... 머니북 2012-11-20 3730
1532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730
1531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730
1530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730
1529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729
1528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729
1527 [2011/06/2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06-28 3729
1526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729
1525 [2013/07/24] 우리말) 영계로 복달임 머니북 2013-07-24 3728
1524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728
1523 [2008/04/24] 우리말) 북돋우다 id: moneyplan 2008-04-24 3728
1522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727
1521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727
1520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726
1519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726
1518 [2008/10/15] 우리말) 수군수군과 소곤소곤 id: moneyplan 2008-10-15 3726
1517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