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조회 수 3428 추천 수 0 2012.05.04 19:07:14

정리하면
'주기'는 죽은 사람의 제사에만 쓸 수 있는 낱말이고,
'주년'은 돌에 쓰는 낱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가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이 생긴 지 50년이 된 날입니다.
어제부터 내일까지 행사를 합니다. 어린이날 수원에 있는 농촌진흥청에 들러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주기와 주년을 갈라보겠습니다.
'주기(周忌/週忌)'는
"사람이 죽은 뒤 그 날짜가 해마다 돌아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내일이 할아버지의 이십오 주기가 되는 날이다처럼 씁니다.

'주년(周年/週年)'은
"일 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입니다.
'동학 농민 운동 1백 주년, 결혼 오십 주년'처럼 쓸 수 있습니다.
어제 농촌진흥청에서 높으신 분을 모시고 50주년 행사를 했습니다.^^*

정리하면
'주기'는 죽은 사람의 제사에만 쓸 수 있는 낱말이고,
'주년'은 돌에 쓰는 낱말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편지입니다.




[16강을 넘보다 ==>> 16강을 노리다]

이제 우리 선수들이 16강을 넘겨다봐도 되겠죠?
우리 선수들이 별 탈 없이 16강에 안착하길 빌며 오늘 편지를 씁니다.

흔히,
'우승을 넘보다'는 말을 쓰는데요.
여기에 쓴 '넘보다'는 잘못된 겁니다.

'넘보다'는,
"남의 능력 따위를 업신여겨 얕보다"는 뜻으로 깔보고 얕보다는 뜻의 낱말입니다.
내가 직급이 낮다고 그렇게 넘보지 마시오처럼 씁니다.

"무엇을 이루려고 모든 마음을 쏟아서 눈여겨보다."는 뜻의 낱말은,
'넘보다'가 아니라,
'노리다'입니다.

어떤 책에는,
'넘보다'가 아니라 '넘겨다보다'가 맞다고 하는데,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은,
'넘보다', '넘겨다보다', '넘어다보다'를 같은 낱말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선수들은 16강을 넘보는 게 아니라,
16강을 노리고 있는 겁니다. 

우리 선수들이 잘 뛰어서 꼭 16강에 가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9
996 [2010/05/07] 우리말) 거시기와 머시기 id: moneyplan 2010-05-07 3294
995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67
994 [2010/05/04] 우리말) 나들가게 id: moneyplan 2010-05-04 3344
993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3193
992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3282
991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534
990 [2010/04/28]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10-04-28 3220
989 [2010/04/27] 우리말) 잊다와 잃다 id: moneyplan 2010-04-27 3512
988 [2010/04/2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id: moneyplan 2010-04-26 3265
987 [2010/04/23] 우리말) 종자의 소중함과 라일락 꽃 id: moneyplan 2010-04-23 3340
986 [2010/04/22] 우리말)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id: moneyplan 2010-04-22 3749
985 [2010/04/21]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10-04-21 3450
984 [2010/04/20] 우리말) 병해충과 병충해 id: moneyplan 2010-04-20 3227
983 [2010/04/19] 우리말) 튤립과 튜울립 id: moneyplan 2010-04-19 3413
982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666
981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903
980 [2010/04/14] 우리말) 듯싶다 id: moneyplan 2010-04-14 3346
979 [2010/04/13] 우리말) 발자욱과 발자국 id: moneyplan 2010-04-13 3489
978 [2010/04/12] 우리말) 두째와 둘째 id: moneyplan 2010-04-12 4103
977 [2010/04/09]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id: moneyplan 2010-04-09 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