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5/09] 우리말) 보다

조회 수 3705 추천 수 0 2012.05.09 11:30:48

'보다'가 
움직씨와 어찌씨로 쓰일 때는 당연히 앞에 오는 낱말과 띄어 써야 하지만,
토씨로 쓰일 때는 앞말과 붙여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어제보다 더 덥다고 하네요. ^^*

오늘은 '보다'를 알아보겠습니다.
'보다'는 
움직씨(동사), 어찌씨(부사), 토씨(조사)로 쓰입니다.

먼저,
움직씨로 쓰일 때는 눈으로 뭔가를 보는 것을 뜻합니다. 
너무나 잘 아시기에 보기는 들지 않겠습니다. ^^*

어찌씨로 쓰일 때는,
"어떤 수준에 비하여 한층 더."라는 뜻입니다.
보다 높게/보다 빠르게 뛰다처럼 씁니다.

토씨로 쓰일 때는,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고자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견줘', '~에 비하여'라는 뜻입니다.
내가 너보다 크다,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헷갈리는 게 띄어쓰기입니다.
움직씨와 어찌씨로 쓰일 때는 당연히 앞에 오는 낱말과 띄어 써야 하지만,
토씨로 쓰일 때는 앞말과 붙여 써야 바릅니다.

저는 우리말 편지를 써 놓고, 보내기에 앞서http://speller.cs.pusan.ac.kr/ 에서 맞춤법 검사를 해 봅니다.
실수를 좀 줄이고자 하는 것이죠.
문제는 이 '보다'는 맞춤법 검사기로 걸러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
아마도 움직씨로 쓰이는 것으로 봐서 앞말과 띄어 써도 틀렸다고 보지 않나 봅니다.

어쨌든,
오늘은 어제보다 더 덥다고 합니다.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웃고자 드리는 이야기입니다.
한 며느리가 어버이날을 맞아 시어머니께 문자를 보냈습니다.
'어머니 오래오래 사세요'라고 보낸다는 게 그만...
'어머니 오래오래 사네요'라고 보냈다고 합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편지입니다.



[스위스 넘어 16강으로...]

내일 새벽이죠?
우리가 열심히 응원해서,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 가야죠?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이 스위스를 꺾고 16강에 안착하길 빌며,
오늘도 월드컵 기념 우리말편지를 보내드립니다.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할 때,
'넘어'가 맞을까요, '너머'가 맞을까요?

'너머'와 '넘어'는 발음이 같고 뜻도 비슷해 헷갈릴 수 있는데요.
간단히 가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넘어'는 '넘다'라는 동사에서 온 것입니다. 
일정한 수치에서 벗어나 지나다, 높은 부분의 위를 지나가다,
경계를 건너 지나다, 일정한 기준, 정도 따위를 벗어나 지나다는 뜻이 있죠.
적군은 천 명이 훨씬 넘었다, 산을 넘다, 그의 노래 실력은 아마추어 수준을 넘지 못한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너머'는,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을 뜻하는 명사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고개 너머, 산 너머처럼 쓰이죠.

정리하면,
'넘어'는 '넘다'라는 동사의 '-아/어'형 어미가 연결된 것으로 품사는 동사이고, 
'너머'는 명사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우리는 스위스를 넘어 16강으로 갑니다. 

대~한민국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51
1016 [2012/02/07] 우리말) 족집게와 쪽집게 머니북 2012-02-07 3746
1015 [2014/07/03] 우리말) 동고동락 머니북 2014-07-04 3746
1014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47
1013 [2008/03/12]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08-03-12 3748
1012 [2012/11/05] 우리말) 애매와 알쏭달쏭 머니북 2012-11-05 3748
1011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49
1010 [2007/01/24] 우리말) 햇빛, 햇볕, 햇살 id: moneyplan 2007-01-25 3750
1009 [2007/08/10] 우리말) 우뢰와 우레 id: moneyplan 2007-08-13 3751
1008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751
1007 [2012/01/05] 우리말) 쇠고기 머니북 2012-01-05 3751
1006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752
1005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752
1004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752
1003 [2013/06/03] 우리말) 띠다와 띠우다 머니북 2013-06-04 3752
1002 [2016/07/11] 우리말) 겨땀 -> 곁땀 머니북 2016-07-11 3752
1001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753
1000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753
999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753
998 [2007/08/03] 우리말) '역활'이 아니라 '역할', '역할'이 아니라 '할 일' id: moneyplan 2007-08-03 3754
997 [2008/11/2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01 3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