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공부하는 재밌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말뿌리(어원)을 파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에게 기운이나 정신 따위를 더욱 높여 주는 것을 '북돋우다'고 하는데, 이게 식물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인 북에서 왔다는 것 같은 게 말뿌리입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유월입니다.
한 달이 가고, 한 해가 가면 왜 이리 마음이 조급해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해 놓은 게 없어서 그럴겁니다.

아침에 일터에 나오는데 옆 사람이 "벌써 육월이다."고 말하더군요.
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여섯째 달은 '육월'이 아니라 '유월'입니다.

저는 우리말을 쓰면서 헷갈리는 게 있으면 국립국어원 가나다전화에 전화를 걸어 여쭤봅니다.
1599-9979로 전화를 드리면 친절하게 안내해 주시거든요.

어제 조선일보 누리집에 좋은 국립국어원에 관한 기사가 실렸기에 같이 읽어보고자 합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religion/newsview?newsid=20120531032506734&cateid=100028&RIGHT_LIFE=R3

오늘은 이 기사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한글 맞춤법 제52항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에는 한자 발음과 우리말 표기를 달리하는 낱말의 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오뉴월(五六月), 유월(六月), 시월(十月)입니다.



'하면 돼지' 틀려요 '하면 되지' 맞습니다
국립국어원 우리말 상담창구, 여러분도 궁금하면 찾으세요

조선일보 | 전병근 기자 | 입력 2012.05.31 03:25 | 수정 2012.05.31 11:02 

"다른 사람 말을 전할 때 '~했대'가 맞나요, '~했데'가 맞나요?"

"간접 전달은 '~대'가 맞고(그 사람 아주 똑똑하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는 '~데'가 맞습니다.(그 친구 아들만 둘이데)"

30일 오후 한 트위터 이용자의 질문에 국립국어원 (@urimal365)이 답하고 있다. 국어원의 우리말 상담창구인 가나다전화와 인터넷게시판 상담, 트위터에는 이런 질문이 매일 같이 줄 잇는다. 맞춤법부터 어원까지 분야는 다양하지만 자주 묻는 질문은 매년 반복된다.

상담원은 모두 국어학 전공자들(11명). 하루 평균 400건 이상의 질문에 답한다. 점차 비중이 커지고 있는 온라인·트위터 상담은 석사 이상 학위자들이 맡고 있다. 기록이 남고 다수가 보기 때문에 더 신경을 쓴다. 얼마 전 가수 이효리가 트위터에'명예회손'이라고 썼을 때는 '훼손이냐 회손이냐' 질문이 폭주했다.

◇자주 묻는 질문들
제일 많은 질문은 '~에요'와 '~예요'의 구별. 상담원들은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가령 고양이를 말할 때는 '~예요'가 맞다. '에요'는 어미이고, '예요'는 어간 '이'에 어미 '에요'가 결합한 '이에요'의 축약형. 즉 '고양이이에요'의 축약형인 '고양이예요'로 적어야 한다. 그러나 '아니~'와 같은 어간 뒤에는 어미 '~에요'가 바로 붙는 경우이므로 '아니에요'가 맞다.

자주 쓰는 '~하다'란 말도 단골 질문. 앞의 어간과 붙여 써야 하나, 띄어야 하나 묻는 이들이 많다. '공부하다'는 붙여 쓰는 게 맞지만 '숙제하다'는 '숙제 하다'가 맞다. '공부하다'는 동작의 뜻이 담긴 명사 '공부'와 접미사 '~하다'가 결합된 것이어서 붙여 쓸 수 있지만 '숙제'는 동작성이 없어 접미사 '~하다'를 붙여 쓸 수 없다.

'남녀간'과 '남녀 간' 중에 어느 것이 맞느냐며 내기하다 물어오는 사람도 있다. 관계를 뜻하는 의존명사 '간'은 '남녀 간' '상호 간'처럼 앞말과 띄어 쓰는 게 원칙. 하지만 '형제간' '부부간' '부자간' 처럼 주로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로 굳은 경우엔 예외다. 합성어로 사전에까지 올라 있으므로 붙여 써야 한다.

'안되다'와 '안 되다'의 띄어쓰기도 자주 입방아에 오른다. '그러면 안 되지' 할 때는 띄어 쓰고, '안되어도 세 명은 된다'고 할 때는 붙여 쓰는 게 맞다. 단순히 '되다'의 부정으로 쓰일 때는 띄어 써야 하지만, '일 같은 것이 좋게 이뤄지지 않다'거나 '일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다'는 뜻의 합성동사로 쓰일 때는 한 단어처럼 붙여 써야 한다.

◇그 밖의 기발한 질문
엉뚱하지만 허를 찌르는 질문도 많다. "흔히 여자는 '예쁘다', 남자는 '잘생겼다'고들 하는데, 왜 남자한테는 과거형을 쓰나?" 이럴 때도 조리 있게 답해야 한다. '잘생기다'는 부사 '잘'과 동사 '생기다'가 결합한 형용사로 동사처럼 쓰인다. 뜻이 '생기고 난 결과'를 가리키므로 과거형이나 완료형으로 쓸 수밖에 없다. "밥상에서 같이 쓰는 '젓가락'과 '숟가락'의 받침이 왜 'ㅅ'과 'ㄷ'으로 서로 다른가?" '젓가락'은 '저+가락'의 결합이기 때문에 중간에 사이시옷을 밝혀 적은 것이고, '숟가락'은 '밥 한 술 뜨다' 할 때의 '술'과 '가락'이 합친 후 '술'자가 점차 '숟'으로 변한 결과다.

이정미 책임연구원은 "시험 기간에는 교사·학생, 평소에는 수험생이나 공무원, 출판인들 문의가 많다"며 "질문이 시사 관심을 따라가기도 하지만 결국 헷갈리는 것은 비슷하다"고 했다.

☞국립국어원 우리말 도우미
국립국어원(원장 민현식)의 국어생활상담실(총 11명)을 이용하는 법은 세 가지. 전화상담(1599-9979, 02-771-9909)은 오전 9시~오후 6시 이용 가능하고, 트위터 상담(@urimal365), 온라인 게시판 상담은 각각 반나절, 하루 이내에 답을 준다.



우리말 편지가 길어서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이지 않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4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51
1156 [2012/07/18] 우리말) '다대기'와 '다지기' 머니북 2012-07-18 3735
1155 [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머니북 2012-07-19 12896
1154 [2012/07/20] 우리말) 시계 돌아가는 소리 머니북 2012-07-20 3750
1153 [2012/07/23] 우리말)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머니북 2012-07-23 4382
1152 [2012/07/24] 우리말) 아웅다웅과 아옹다옹 머니북 2012-07-24 4067
1151 [2012/07/25] 우리말) 백미러 머니북 2012-07-25 4054
1150 [2012/07/26] 우리말) 바통/배턴/계주봉 머니북 2012-07-26 3704
1149 [2012/07/27] 우리말) 화이팅/파이팅 머니북 2012-07-27 3972
1148 [2012/07/30] 우리말) 여자 양궁 7연패 머니북 2012-07-30 8549
1147 [2012/08/01] 우리말) 뭔가 야로가 있는 거 같죠? 머니북 2012-08-01 12798
1146 [2012/08/0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쓰기 머니북 2012-08-02 3349
1145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650
1144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735
1143 [2012/08/07] 우리말) 저제 머니북 2012-08-07 3863
1142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44
1141 [2012/08/09] 우리말) 석패/완패/숙적 머니북 2012-08-09 3465
1140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281
1139 [2012/08/13] 우리말) 휴대전화를 잃어버렸습니다 머니북 2012-08-13 4138
1138 [2012/08/14] 우리말) 얼리어답터 머니북 2012-08-14 8731
1137 [2012/08/16] 우리말) 올림픽 때 보낸 편지 머니북 2012-08-18 3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