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08] 우리말) 센티미터

조회 수 3577 추천 수 0 2012.06.08 11:09:33

구개음화는 고유어에만 적용됩니다. 외래어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centimeter는 '센티미터'라고 쓰는 게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집에 들어가니 10시가 조금 넘었더군요.
씻고 자리에 누우니 옆에 15개월에 접어드는 막내가 자고 있었습니다.
그 녀석의 통통한 다리통을 만지작거리며 잠이 들었는데, 어찌나 기분이 좋던지요. ^^*
아침에는 어제 오후에 수술 실밥을 뺀 둘째 녀석 다리통을 만지면서 잠에서 깼습니다. 

둘째는 키가 좀 작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인데, 
오늘 아침에 밥을 먹으면서 키를 재보니 120센티미터밖에 안되네요.
어떻게 하면 키를 잘 크게 만들지 걱정입니다.
저는 애들 공부 안 시키고 그저 뛰어놀라고만 하는데, 너무 놀아서 키가 안 크는 것 같기도 하고요. ^^*

흔히 키는 센티미터로 나타냅니다.
미터법에 따른 길이 단위로 1센티미터는 1미터의 100분의 1이고 1밀리미터의 열 배죠.
centimeter는 센티미터로 쓰고 기호는 cm이며 '센티'라고 해도 됩니다.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센티미터를 '센치미터'로 자주 쓴다는 겁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모음 앞에 오는 't'는 'ㅌ'으로 쓰기 때문에 '센티미터'라고 써야 바릅니다.
아마도
'ㅣ'모음 앞에 오는 'ㅌ, ㄷ'을 'ㅊ, ㅈ'으로 소리 내는 구개음화의 영향인지, centimeter를 '센치미터'라고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구개음화는 고유어에만 적용됩니다. 외래어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centimeter는 '센티미터'라고 쓰는 게 바릅니다.

아침에 기분이 좋네요.
오늘도 늘 기쁜 생각 자주 하시고, 자주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삐지다/삐치다]

안녕하세요.

이번 비에 별 피해 없으셨죠?
아무쪼록 큰 피해 없기를 빕니다.

요즘 장마철이라 밤에는 무척 덥죠?
저는 밤에 자면서 딸내미를 안고 자는데요.
어제는 너무 더워서 딸내미를 옆으로 좀 밀쳤습니다.
너는 그쪽에서 자고 아빠는 여기서 자고...

이 말을 들은 딸내미가,
"아빠, 아빠가 안 안아주면 나 삐진다!"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하는 말이,
"삐지는 것은 위험하니, 삐지지 말고 삐쳐라. "
"아이 참, 아빠가 안아주지 않으면 나 삐진다고오~~!"
"그래, 삐지지 말고 삐쳐! "
"무슨 소리야... 흥, 아빠, 미워!!"

흔히,
"성이 나서 마음이 토라지다"는 뜻으로 '삐진다'고 합니다.
너 때문에 삐졌다, 그만한 일에 삐지면 되니? 처럼 씁니다.
이때 쓰는,
'삐지다'는 잘못된 겁니다.
성이 나서 토라지는 것은 '삐지'는 게 아니라 '삐치'는 것입니다.

'삐지다'는,
"칼 따위로 물건을 얇고 비스듬하게 잘라 내다."는 뜻으로,
김칫국에 무를 삐져 넣다처럼 씁니다.

그래서 제가,
딸내미가 삐진다고 했을 때,
"삐지는 것은 위험하니, 삐지지 말고 삐쳐라."라고 한 겁니다.
세살배기 어린아이에게 좀 어려운 말인가요? 

아침에 나오며 딸내미와 뽀뽀하고 헤어진 지 채 1시간도 안 되었는데 벌써 보고 싶네요.
오늘 하루 어떻게 일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47
1616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612
1615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611
1614 [2011/01/13] 우리말) 때마침 moneybook 2011-01-13 3611
1613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609
1612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3609
1611 [2015/06/11] 우리말) 나들못 머니북 2015-06-12 3608
1610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08
1609 [2013/02/07] 우리말) 햇님과 해님 머니북 2013-02-07 3608
1608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608
1607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07
1606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607
1605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07
1604 [2007/07/26] 우리말) 생률이 아니라 날밤입니다 id: moneyplan 2007-07-26 3607
1603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06
1602 [2013/05/09] 우리말) 함함하다 머니북 2013-05-10 3606
1601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06
1600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606
1599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606
1598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606
1597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