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18] 우리말) 미어지다와 메어지다

조회 수 3919 추천 수 0 2012.06.18 11:08:51

'가슴이 미어진다'고 해야지, '가슴이 메어진다'고 하면 틀립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뉴스에서 들으니 오늘 남부지방에는 비가 내린다고 합니다.
참으로 다행입니다. 이제 중부지방에도 비가 좀 내려 메마른 땅을 적셔주면 좋겠습니다.
저야 지금은 농사를 짓지 않으니 요즘 어느 정도 가뭄이 심각한지 잘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나 일터에 오가다 보는 들판에서 그 심각함을 어느 정도 눈치챌 수는 있습니다.
이런 가뭄 때면 농사지으며 고향을 지키는 친구들 생각에 가슴이 미어지곤 합니다.

우리말에 '메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다."는 뜻으로 
나는 너무 기뻐 목이 메었다, 그는 가슴이 메어 다음 말을 잇지 못했다처럼 씁니다.

'미어지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가슴이 찢어질 듯이 심한 고통이나 슬픔을 느끼다."는 뜻으로
이별은 영원으로 통한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지는 것 같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가슴이 미어진다'고 해야지, '가슴이 메어진다'고 하면 틀립니다.
'가슴이 미어진다'고 하면
마음이 슬픔이나 고통으로 가득 차 견디기 힘들게 되다는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가슴'과 '미어지다'나 '메어지다'나 다 합쳐질 수 있을 것 같지만,
말이란 게 습관을 따르기 때문에...
게다가
'목이 메다'에 쓴 '메다'가 제움직씨(자동사)라는 것도 '가슴이 메어지다'라고 합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한 까닭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발 비가 좀 내려서
마른 땅을 좀 적셔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가뭄이 지나간 뒤
고향에 가서 친구들과 곡차라도 한잔해야겠습니다.
가끔은 기쁨과 안타까움에 목이 메기도 하고,
가슴이 미어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친구잖아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느리다/늦다]

며칠 전에 미국에 유학 가 있는 제 후배가 큰 상을 하나 받았더군요.
그해에 나온 그 분야 박사학위 논문 중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서,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그 분야에서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을 받았습니다.
그 소식을 듣자마자 어찌나 기쁘던지, 바로 미국으로 전화를 했습니다.
근데 신호는 가는데 전화를 안 받는 겁니다.
어?, 왜 전화를 안 받지?

한참을 고민하고서야, 미국과 우리나라가 시간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오후에 전화를 했으니까 제 후배 전화는 새벽에 울렸겠죠.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15시간이 느린데...그걸 깜빡하고는...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15시간 느린 거 맞죠? 

아니요.
15시간 느린 게 아니라 늦은 겁니다.

'느리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나
"움직임이 빠르지 못하고 더디다"는 뜻으로,
속도(速度)와 관계가 있습니다.
행동이 느리다, 더위에 지친 사람들은 모두 느리게 움직이고 있었다처름 씁니다.
품사는 형용사죠.

'늦다'는,
"정해진 때보다 지나다"는 뜻으로,
그는 약속 시간에 늘 늦는다, 버스 시간에 늦어 고향에 가지 못했다처럼 씁니다.
시기(時期)와 관계가 있습니다.
품사는 동사입니다.

지구 자전에 따라 우리나라에 먼저 해가 뜨고,
그보다 15시간 뒤에 미국에 해가 뜨므로,
미국 시간대가 우리나라 시간대보다,
15시간 늦은 겁니다.

'느리다'는 형용사이므로,
'15시간 느리다'고 하면 말이 안 됩니다.

멀리 미국까지 유학 가서,
큰 상을 받은 자랑스러운 제 후배를 거듭 축하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86
656 [2013/01/31] 우리말) 인공위성 상식 몇 가지 머니북 2013-01-31 3953
655 [2016/04/22] 우리말) 생사여부 머니북 2016-04-22 3953
654 [2014/02/03] 우리말) 설 잘 쇠셨나요? 머니북 2014-02-03 3954
653 [2007/11/23] 우리말) 빗밑이 재다 id: moneyplan 2007-11-23 3957
652 [2008/03/03]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3-03 3958
651 [2016/04/06] 우리말) 감치다(2) 머니북 2016-04-06 3960
650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961
649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962
648 [2013/05/03] 우리말) 신토불이 머니북 2013-05-03 3964
647 [2013/01/11]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3-01-11 3965
646 [2009/10/16] 우리말)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id: moneyplan 2009-10-19 3967
645 [2011/1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11-09 3968
644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3969
643 [2010/05/31] 우리말) 사전 이야기 id: moneyplan 2010-05-31 3970
642 [2013/12/26] 우리말) 문외한 머니북 2013-12-26 3970
641 [2015/07/28] 우리말) 짜증 머니북 2015-07-28 3970
640 [2014/02/10] 우리말) 발자국 소리 머니북 2014-02-10 3973
639 [2011/07/22] 우리말) 표정 머니북 2011-07-22 3974
638 [2014/03/03] 우리말) 뒤돌아보다/되돌아보다 머니북 2014-03-03 3974
637 [2007/01/08] 우리말) 카드사 수수료 인하 거부 id: moneyplan 2007-01-08 3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