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18] 우리말) '다대기'와 '다지기'

조회 수 3796 추천 수 0 2012.07.18 09:26:34

식당에서 고기를 찍어 먹는 '다대기'나 '다진 양념'이 같은 뜻 아닌가요?
저는 '다대기'나 '다진 양념'을 쓰지 않고 '다지기'라고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태풍이 올라온다고 합니다.
아무쪼록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어제저녁에 일터 동료와 같이 저녁을 먹다 '다대기'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고기에 찍어 먹는 양념 있잖아요. ^^*

일단 그 '다대기'가 일본말이라는 것은 거의 다 아십니다.
두들긴다는 뜻의 たたき[타타끼]에서 왔다고 합니다.
양념을 두들겨 다진다고 해서 그렇게 부르나 봅니다.
일본에서 다진 양념을 たたき라고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다대기가 일본말에서 왔음을 밝히고 
'다진 양념'이나 '다짐'으로 다듬어서 쓸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다른 이야기 하나 해 보겠습니다.

예전에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 따위에서 자동차가 달리게 되어 있는 도로 밖의 가장자리 길을
'견로'라고 했다고 합니다.
어깨 견(肩) 자와 길 로(路) 자를 써서 그렇게 했나 봅니다.
그러나 그 말은 일본말 ろ-かた[路肩]에서 온 것이라고 해서
그 말을 우리말로 바꾼다고 '어깨 길'로 바꿨습니다.
그때까지 우리말에 '갓길'이라는 좋은 낱말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거죠.
다행히 지금은 누구나 '갓길'이라고 씁니다.
노견, 견로, 어깨길... 그리고 갓길...

저는 '다대기'도 그렇다고 봅니다.
일본말 たたき[타타끼]에서 왔다고 해서 '다진 양념'이나 '다짐'으로 다듬은 것 같은데요.
우리말에 '다지기'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고기, 채소, 양념감 따위를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드는 일.
파, 고추, 마늘 따위를 함께 섞어 다진 양념의 하나.
흙 따위를 누르거나 밟거나 쳐서 단단하게 하는 일.
을 뜻합니다.

식당에서 고기를 찍어 먹는 '다대기'나 '다진 양념'이 같은 뜻 아닌가요?

저는 '다대기'나 '다진 양념'을 쓰지 않고 '다지기'라고 쓰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잔치는 벌리는 게 아니라 벌이는 겁니다]

이달 말에 농촌진흥청에서 벌이는 잔치를 많은 분이 축하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오시면 꼭 연락해주세요. 

8월 30일부터 9월 3일까지
농촌진흥청 운동장에서 큰 잔치를 벌일까요, 벌릴까요?
잔치를 벌이는 게 맞을까요, 벌리는 게 맞을까요? 

오늘은 '벌이다'와 '벌리다'를 갈라보겠습니다.
아주 쉽습니다.

물리적인 간격을 넓히는 것이면 '벌리다[벌:리다]'고, 
그렇지 않으면 '벌이다[버:리다]'입니다.
곧, 입을 벌리고 하품하고, 앞뒤 간격을 벌리는 겁니다.
'벌이다'는 잔치를 벌이다, 일을 벌이다, 사업?벌이다처럼 물리적인 간격을 넓힌다는 뜻이 없을 때 씁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벌립니다'고 하면 틀리고,
'농촌진흥청에서 큰 잔치를 벌입니다'고 해야 합니다.

농촌진흥청에서 벌이는 잔치에 오시면
꼭 저를 찾아주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14
1536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50
1535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551
1534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51
1533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51
1532 [2009/08/07] 우리말) 할 뿐만 아니라 id: moneyplan 2009-08-14 3551
1531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551
1530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51
1529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551
1528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551
1527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3552
1526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553
1525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553
1524 [2010/01/06] 우리말) 몸알리 id: moneyplan 2010-01-06 3553
1523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53
1522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553
1521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53
1520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554
1519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554
1518 [2016/09/27] 우리말) 야매 머니북 2016-11-01 3554
1517 [2009/03/02] 우리말) 스킨십 id: moneyplan 2009-03-03 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