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23] 우리말)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조회 수 4417 추천 수 0 2012.07.23 10:21:43

머리가 벗겨진다고 하면,
누가 머리를 일부러 다 뽑아버려서 없어졌을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자연적으로 머리숱이 없는 사람은 머리가 벗어진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다 보니 이슬비가 조금씩 내리더군요.
그래도 오늘 낮에는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이렇게 더운 날씨를 두고 '머리가 벗겨질 정도로 더운 날씨'라고 합니다.
오늘은 '벗어지다'와 '벗겨지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벗어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는 뜻으로,
신발이 커서 자꾸 벗어진다. 소반의 칠이 벗어져 보기가 흉하다처럼 씁니다.

'벗겨지다'는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외부의 힘으로 떼어지거나 떨어지다"는 뜻으로,
신발이 꽉 끼어 잘 벗겨지지 않는다. 때가 눌어붙어 잘 안 벗겨진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머리가 벗겨진다고 하면,
누가 머리를 일부러 다 뽑아버려서 없어졌을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자연적으로 머리숱이 없는 사람은 머리가 벗어진 사람입니다.

무더운 날씨도
머리가 '벗겨질' 정도가 아니라 '벗어질' 정도로 더운 날씨라고 해야 바릅니다.

오늘 날씨가 덥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무더운 날씨나 더위와 싸워 이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여름이라 더운 것은 당연합니다.
오히려 여름에 덥지 않으면 그게 더 문제가 될 겁니다.
더위와 싸우지 마시고, 더위와 잘 즐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우표 붙여 편지 부쳤습니다]

오늘은 발음이 같아 헷갈리는 낱말 중에
'붙이다'와 '부치다'를 갈라볼게요.
두 낱말 모두 발음은 [부치다]로 같습니다.

먼저,
'붙이다'는 '붙다'의 사동사입니다.
'붙다'는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 시험 따위에 합격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쪽지가 붙어 있다, 대학에 붙다처럼 씁니다.

'부치다'는,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
"어떤 일을 거론하거나 문제 삼지 아니하는 상태에 있게 하다",
"어떤 행사나 특별한 날에 즈음하여 어떤 의견을 나타내다."는 뜻이 있습니다.
편지를 부치다, 안건을 회의에 부치다, 한글날에 부쳐처럼 씁니다.

좀 헷갈리신가요?
아주 쉽게 가르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양쪽을 딱 접착시킨다는 뜻이 있으면 '붙이다'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부치다'를 쓰면 됩니다.

예를 들면,, 
우표를 봉투에 접착시키는 것이므로 우표를 '붙이다'가 맞고, 
힘이 부치다, 편지를 부치다, 표결에 부치다처럼 
양쪽을 붙인다는 뜻이 없으면 '부치다'를 쓰시면 됩니다.

둘을 한꺼번에 써 보면,
'우표를 붙이고 나서 편지를 부쳐라'처럼 쓰시면 됩니다.
쉽죠? 

제가 오늘 붙이다와 부치다를 갈라본 까닭은,
그저께 제가 몇 분에게 작은 선물을 부쳤거든요. 

농촌진흥청 잔치에 못 오신다는 분 중 주소를 알려주신 분께 
천연향이 든 비누와 녹차 향 카드를 보내드렸습니다.
비누는 저녁에 주무시기 전에 화장 지울 때 쓰시면 좋다고 하고,
녹차 향 카드는 명함 속에 넣어두시거나 지갑에 넣어두시면,
명함에서 향기가 나고 돈에서도 향기가 납니다. 

농촌진흥청 잔치에 오시면 또 드릴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15
1536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50
1535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51
1534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51
1533 [2009/08/07] 우리말) 할 뿐만 아니라 id: moneyplan 2009-08-14 3551
1532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551
1531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51
1530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551
1529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551
1528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552
1527 [2015/03/19] 우리말) 사료는 먹이로 머니북 2015-03-19 3552
1526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553
1525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553
1524 [2010/01/06] 우리말) 몸알리 id: moneyplan 2010-01-06 3553
1523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53
1522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553
1521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53
1520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554
1519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554
1518 [2016/09/27] 우리말) 야매 머니북 2016-11-01 3554
1517 [2009/03/02] 우리말) 스킨십 id: moneyplan 2009-03-03 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