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09] 우리말) 석패/완패/숙적

조회 수 3528 추천 수 0 2012.08.09 12:12:15

'숙적'은 묵을 숙(宿) 자에 원수 적(敵) 자를 써서 "여러 해 전부터의 적수"라는 뜻입니다.
이 '숙적'도 '오랜 적' 같은 말로 바꿔 쓸 수 있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석패'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오늘도 좀 이어보겠습니다.

'석패'는 안타까운 패배로 '아쉽게 졌다'고 쓰면 좋을 것 같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완패'는 완전할 완(完) 자에 깨뜨릴 패(敗) 자를 써서 완전하게 깨짐을 뜻합니다.
실력 차이가 너무 크고 두드러져 깨끗하게 진 것이죠.
'완패' 또한 '크게 져'나 '아주 져' 같은 말로 바꿔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는 일본과 동메달을 두고 다퉈야 합니다.
언론에서는 일본을 '숙적'이라고 쓰더군요.
'숙적'은 묵을 숙(宿) 자에 원수 적(敵) 자를 써서
"여러 해 전부터의 적수"라는 뜻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관계를 잘 나타내는 딱 좋은 말 같습니다.
이 '숙적'도 '오랜 적' 같은 말로 바꿔 쓸 수 있을 겁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잊혀가는 순우리말을 소개합니다.
그럴 때 가끔 받는 댓글이
그냥 있는 말을 쓰면 되지 왜 굳이 사라져가는 말을 찾아서 외워야 하는지를 따지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말은 살아있어서 사람들이 자주 쓰지 않으면 없어집니다.
그리고 그 말에는 우리 넋과 삶의 흔적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우리 문화가 되죠.

석패, 완패, 숙적을 써도 거의 다 알아먹습니다.
그러나 이제 초등학교에 다니는 제 아이들은 그게 무슨 말인지 몰라 저에게 물어봅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아쉽게 져, 아주 져, 오래된 적으로 풀어서 설명해줍니다.
그럼 애들은 알아듣습니다.

이제 말을 배워가는 초등학생들이 왜 굳이 석패, 완패, 숙적을 배워야 하죠.
걔들이 쓰는 쉬운 말을 쭉 쓰도록 하면 안 될까요?
그게 깨끗한 우리말이잖아요.
굳이 어려운 말을 배워야 한다면, 한자말보다는 순우리말을 찾아서 배우는 게 더 좋지 않을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제가 국어를 전공하지도 않았으면서 잘났다고 감히 국립국어원을 꼬집었는데요.
근데 어떡하죠?
오늘도 국립국어원을 좀 조져야겠는데......

가을에 피는 꽃 하면 코스모스 꽃이 생각나죠?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해 원래부터 이 땅에서 자라난 우리 꽃처럼 생각됩니다.
이 코스모스의 순 우리말이 '살사리'라고 합니다.
바람이 불 때마다 살랑거리고 살살대는 모습에서 '살사리(살살이→살사리)꽃'이란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분은 순 우리말이라고 하고, 또 다른 분은 북한에서 쓰는 문화어라고도 하고...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살사리꽃'을 뒤져봤습니다.
매정하게도,
"'코스모스(cosmos)'의 잘못."이라고 나와 있네요.
한마디로 잘못된 말이니 쓰지 말라는 겁니다.

그럼,
해바라기는 왜 그냥 뒀죠? 
"선플라워(sunflower)의 잘못'이라고 해야 하고,
토끼풀은 "클로버(clover)의 잘못'이라고 풀어야 하지 않나요?

외래어나 한자어에 밀려 순 우리말이 없어진 게 한두 개가 아니지만,
국가기관, 될 수 있으면 우리말을 살려 쓰고, 없는 말도 만들어내야 할 국립국어원에서
오히려 우리말을 죽이고 있는 이 꼴을 어떻게 봐야 하죠?

우리 정서가 고스란히 담긴 '살사리꽃'을 쓰지 못할 까닭이 없습니다.
살사리꽃이 북한에서 쓰는 문화어라서 쓰면 안 된다고요?
저는 국가정보원 아닌 국가정보원 할아비가 와도 저는 코스모스보다는 살사리꽃을 쓰겠습니다.

이제 곧 방송과 신문에서 살사리꽃이 활짝 핀 길을 소개하겠죠?
그러면서 '코스모스 만개'라는 꼭지를 뽑을 겁니다.
제발 부탁드립니다.
'코스모스 만개'라고 제목을 뽑지 마시고,
'살사리꽃 활짝'이라고 뽑아 주세요.
만개(滿開, まんかい[망가이])가 일본말이란 것을 다 알고 계시잖아요.
제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4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1
1316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45
1315 [2010/03/3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10-03-31 3545
1314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44
1313 [2017/04/24] 우리말) 국어를 잘 배우자 머니북 2017-04-24 3543
1312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43
1311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543
1310 [2008/11/11] 우리말) 겹말 id: moneyplan 2008-11-11 3542
1309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41
1308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541
1307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41
1306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541
1305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540
1304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39
1303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38
1302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537
1301 [2014/04/02] 우리말) 다좆치다 머니북 2014-04-02 3536
1300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536
1299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36
1298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536
1297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