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20] 우리말) 자빡

조회 수 3807 추천 수 0 2012.08.20 09:00:22

'자빡(을) 대다'나 '자빡 치다'고 하면 '아주 딱 잘라 거절하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새벽에 무섭게 비가 내리치더니 지금까지 내리네요.
아마 이번 비로 한여름은 물러가나 봅니다.

지난주에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지리산 피아골에서 잘 쉬다 왔습니다.

쉬는 것까지는 좋은데, 왜 먹는 것을 참지 못하고 그렇게 많이 먹게 되는지요.
저는 서울로 오가면서 몸무게가 7~8킬로 정도 빠졌었는데, 지난 휴가 때 1~2킬로는 더 찐 것 같습니다. ^^*
평소에는 반만 먹으며 잘 참는데 왜 휴가 때는 그 유혹을 떨치지 못했나 모르겠습니다. ^^*
 
우리말에 '자빡'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공주병이나 왕자병을 뜻하는 '자뻑'이 아닌 '자빡'입니다.

"결정적인 거절"이라는 뜻으로 
'자빡(을) 대다'나 '자빡 치다'고 하면
'아주 딱 잘라 거절하다.'는 뜻입니다.
끊임없이 나오는 간식 유혹에 자빡 치며 저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저는 의지가 너무 약한가 봅니다.

오늘부터 다시 좀 더 참아보며 먹는 양을 줄여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보태기)
'자뻑'은
한자 스스로 자와 
강렬한 자극으로 정신을 못 차린다는 뜻의 속어인 뻑이 합성된 낱말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도취하여 정신을 못차린다, 제정신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쓰이죠.
공주병 왕자병 따위를 갈음하는 낱말로 자주 쓰이지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오르지 못한 낱말입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저는 요즘 책 읽을 시간이 많네요.
병원에 있다 보면 딱히 뭐 할 게 없더군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책을 많이 봅니다.

어떤 책이라고 꼭 집어서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많은 책에서 보이는 잘못을 좀 지적해 볼게요.

첫째,
뭔가를 설명하면서 '즉'이라는 낱말을 많이 쓰는데,
이는 '곧'으로 바꿔 쓰는 게 좋습니다.
뜻이 거의 같은데 굳이 한자인 즉(卽)을 쓸 까닭이 없죠.

둘째,
설명하면서 자주 나오는
"말할 것도 없음"이라는 뜻의 '물론'이라는 낱말은 일본어 勿論(もちろん[모찌롱])에서 왔습니다.
두말할 것도 없이 '말할 것도 없음'으로 바꿔 쓰시면 됩니다.

셋째,
'필자'라는 말입니다.
사전에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이라고 풀어져 있지만,
그 뜻은
그 책을 쓴 사람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제삼자가 글을 쓴 사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곧,
글쓴이가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고..."라는 것은 말이 안 되고,
글을 읽는 사람이 "필자는 어떤 생각으로 이런 글을 썼을 것이고..."라는 것만 말이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필자'도 일본식 표현입니다.
筆者(ひっしゃ[핏샤])라는 일본어에서 왔거든요.

글을 쓴 사람이 자기 자신을 가리켜 필자라고 쓴 것은,
필자의 뜻을 제대로 몰랐거나,
가진 게 없어 뭔가 있는 것처럼 보이려고 한 것 일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1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20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29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8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692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03
2671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19
2670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19
2669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23
2668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28
2667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34
2666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35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45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47
2663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64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65
2661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65
2660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766
2659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68
2658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68
2657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