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21] 우리말) 간식과 새참

조회 수 3756 추천 수 0 2012.08.21 09:40:05

'야식'은 일본말이니 '밤참'으로 쓰자고 하면서 '간식'은 모르고 그냥 지나쳤네요.
끼니와 끼니 사이에 음식을 먹는 것이나 그런 음식은 '곁두리', '군음식', '새참'으로 다듬어서 쓰시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너무 많이 내린 것 같습니다.
이제는 좀 그쳐도 되련만...

어제 보낸 편지에서 제가 휴가 동안에 간식을 자빡 대지 못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 글을 보시고 이ㅇㅎ 님이 간식도 일본말이나 다듬어서 쓰는 게 좋겠다는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맞습니다.
끼니와 끼니 사이에 음식을 먹는 것이나 그런 음식은 '곁두리', '군음식', '새참'으로 다듬어서 쓰시는 게 좋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이미 그렇게 다듬어 놨습니다.

제가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야식'은 일본말이니 '밤참'으로 쓰자고 하면서
'간식'은 모르고 그냥 지나쳤네요.

이제 오늘 일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간식... 아니 곁두리 먹지 않고 잘 참아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하늘이 참 맑고 좋죠?
이런 좋은 날 땅만 쳐다보고 다니면 재미없잖아요.
가끔은 하늘도 쳐다보고, 눈, 코, 입 크게 벌려 자연을 듬뿍 받아들여 보세요.
내가 곧 자연이고, 자연이 곧 내가 됩니다. 
이렇게 말하고 나니 제가 꼭 뭐 같네요. ^^*

흔히,
"무슨 고민이 있는지 고개를 숙이고 땅만 쳐다보고 있다."라는 말을 하는데요.
이것은 말이 안 됩니다. 
고개를 숙이는 것은 좋은데 땅을 어떻게 쳐다보죠? 
'쳐다보다'는 "얼굴을 들고 올려다보다."는 뜻이잖아요.
얼굴을 들고 하늘을 '쳐다본다'고 하거나, 
고개를 숙이고 땅을 '내려다본다'고 해야겠죠.

따라서,
'이런 좋은 날 땅만 쳐다보고 다니면 재미없잖아요.'가 아니라,
'이런 좋은 날 땅만 내려다보고 다니면 재미없잖아요.'가 맞습니다.

오늘도 하늘 한번 쳐다보고 일 시작하세요.
온 세상을 다 안을 수 있을 것 같지 않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30
1556 [2010/11/15] 우리말) 신기록 경신 moneybook 2010-11-15 2952
1555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169
1554 [2010/11/17] 우리말) '경신'과 '갱신' moneybook 2010-11-17 3238
1553 [2010/11/18] 우리말) 마루 moneybook 2010-11-18 4440
1552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3170
1551 [2010/11/22] 우리말) 사투리 moneybook 2010-11-22 3329
1550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651
1549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74
1548 [2010/11/25] 우리말) 새다와 새우다 moneybook 2010-11-25 3930
1547 [2010/11/26] 우리말) 새다와 새우다(2) moneybook 2010-11-26 3394
1546 [2010/11/29] 우리말)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moneybook 2010-11-29 3298
1545 [2010/11/30] 우리말) 구제역 moneybook 2010-11-30 3196
1544 [2010/12/01] 우리말) 두껍다/두텁다 moneybook 2010-12-01 3820
1543 [2010/12/02] 우리말) 책 소개(사쿠라 훈민정음) moneybook 2010-12-02 3675
1542 [2010/12/03] 우리말) 착한 몸매? moneybook 2010-12-03 3342
1541 [2010/12/06] 우리말) '착하다'의 뜻 moneybook 2010-12-06 11498
1540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472
1539 [2010/12/08] 우리말) '한해'와 '한 moneybook 2010-12-08 3425
1538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3191
1537 [2010/12/10] 우리말) 책 소개 moneybook 2010-12-10 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