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8/24]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조회 수 3778 추천 수 0 2012.08.27 09:02:15

'피로회복'이라 쓰면 안 되고 '원기회복'이나 '피로해소'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맨 앞에 있는 줄거리에서
'
피로회복'이나 '원기회복'으로 써야 바릅니다.
라고 했는데,
'
피로회복'이라 쓰면 안 되고 '원기회복'이나 '피로해소'라고 써야 바릅니다.
가 맞습니다.

어제 아침에 글을 쓸 때 
원기회복이 덜 되었거나,
피로해소가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

내일 주말입니다.
즐겁게 보내시고 자주 웃으시면서 지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숟가락을 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

흔히,
애들은 네 살까지 평생 부모에게 할 효도를 다 한다고 하죠?
그 말이 맞지 않기를 빕니다.
왜냐하면,
제가 요즘 그 행복의 한가운데 있거든요.
35
개월 된 네 살배기 딸과,
15
개월 된 두 살배기 아들의 재롱을 보고 있으면 시간가는 줄 모릅니다.

집에서 애들 노는 꼴을 좀 보면,
밥을 먹다가 딸내미가 한 숟가락 떠먹고 그 숟가락을 바닥에 떨어뜨립니다.
그러면 아들은 그걸 주워서 그 숟가락에 붙은 밥알 한두 개 떼어먹고 숟가락은 누나에게 줍니다.
그걸 받아든 누나와 동생이 서로 마주보고 깔깔대며 웃습니다.
딸내미가 또 한 숟갈 떠서 먹고그 숟가락을 일부러 바닥에 떨어트립니다.
그러면 아들은 또 그걸 주워서 밥알 몇 개 떼어먹고 숟가락은 누나에게 줍니다.
그걸 들고 둘이 마주보고 깔깔대며 웃고......
제가 보기에는 하나도 재미없을 것 같은데
애들은 그게 그리도 재밌나 봅니다.

숟가락이 바닥에 떨어지면,
방바닥에 있는 먼지도 묻어 건강에 별로 좋지 않을 텐데도 그게 뭐 그리 재밌다고 즐기고 노네요.
그렇게 노는 걸 넋 놓고 보는 저는 참 행복합니다.
애들이 조금만 커도 그렇게 놀지 않겠죠?

애들이 네 살까지 평생 부모에게 할 효도를 다 해버리면,
저는 그 효도가 거의 끝나가잖아요.
그래서 그 말이 틀리길 빈 겁니다. ^^*

오늘은 애들 노는 것을 생각하면서,
숟가락을 '떨어뜨리다' '떨어트리다'를 알아볼게요.
"
위에 있던 것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다."는 뜻의 낱말은
'
떨어뜨리다'가 맞을까요 '떨어트리다'가 맞을까요?

답은 둘 다 맞다입니다.
'
무너뜨리다' '무너트리다', 
'
깨뜨리다' '깨트리다'도 모두 복수 표준어로 둘 다 맞습니다.
빠뜨리다빠트리다.................

제 딸이 숟가락을 떨어뜨리는 것도 맞고 떨어트리는 것도 맞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68
936 [2011/05/17] 우리말) 뜬금없다 moneybook 2011-05-17 3809
935 [2014/09/30] 우리말) 망막하다/막막하다 머니북 2014-09-30 3809
934 [2007/07/27] 우리말) 싱글맘 id: moneyplan 2007-07-31 3812
933 [2014/01/27] 우리말) 엔간하다와 웬만하다 머니북 2014-01-28 3812
932 [2011/12/01] 우리말) 물때썰때 머니북 2011-12-01 3812
931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812
930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813
929 [2010/10/01] 우리말) 빼닮다와 빼쏘다 moneybook 2010-10-01 3813
928 [2011/10/27] 우리말) 아웅다웅 머니북 2011-10-27 3813
927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814
926 [2011/10/31] 우리말) '입구와 출구'를 읽고 머니북 2011-10-31 3814
925 [2011/04/06] 우리말) 자글거리다 moneybook 2011-04-06 3815
924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815
923 [2011/06/14] 우리말) 한자 교육 머니북 2011-06-14 3815
922 [2012/02/22] 우리말) 넨다하다 머니북 2012-02-22 3815
9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816
920 [2009/12/28] 우리말) 제치다와 제끼다 id: moneyplan 2009-12-28 3816
919 [2012/02/06] 우리말) 댓글 두 개를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2-02-06 3816
918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816
917 [2012/07/20] 우리말) 시계 돌아가는 소리 머니북 2012-07-20 3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