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뉴스를 보니 
'한글과 더불어' 그들의 의미 있는 한글날 맞이 
라는 제목을 단 기사가 보이네요.
같이 보면 좋을 것 같아 연결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정신없이 놀았습니다. ^^*

내일이 한글날입니다.
저는 한글날에는 오히려 편지 보내기가 더 어렵습니다.
우수한 한글에 제 편지가 누가 될 것 같아 걱정되는 것이죠.

아침 뉴스를 보니 
'한글과 더불어' 그들의 의미 있는 한글날 맞이
라는 제목을 단 기사가 보이네요.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693868&g_menu=020200
같이 보면 좋을 것 같아 연결합니다.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우리글을 아끼고 사랑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여러분은 우리글과 말을 아끼고자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시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6년 이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굽실대다]

어제 인터넷 뉴스에
'당돌한 직장후배 대처방법'이라는 꼭지의 글이 있더군요.
예전에는 무조건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굽실거렸는데 지금은 그게 아닌가 봅니다.
오히려 윗사람이 아랫사람 눈치를 봐야 한다니...

항상 굽실거리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의를 갖추는 것은 중요한데...

굽실거리다와 굽신거리다...
어떤 게 맞죠?
몸(身)을 구부리는 것이니까 '굽신'이 맞겠죠?

아니요.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굽신'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나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자꾸 비굴하게 행동하다."는 뜻의 낱말은
'굽신'이 아니라 '굽실'입니다. 
굽실거리다, 굽실대다처럼 쓰죠.

내친 김에,
'곱실'이라는 말 들어보셨어요?
'굽실'이 아니라 '곱실'.
또 '꼽실'은요?

굽실, 곱실, 꼽실 모두 같은 뜻입니다.
다만, 꼽실은 곱실에 견줘 센 느낌이 있습니다.
그러면 꼽실보다 더 센 느낌의 말을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설마 꼽실꼽실?

맞습니다.
꼽실꼽실, 곱실곱실, 굽실굽실 모두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낱말입니다.
한번 쓸 때 보다 더 센 느낌으로 말하고 싶을 때 쓰시면 됩니다.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좀스럽고 비굴하게 곱실거릴 필요는 없지만,
윗사람을 보자마자 먼저 꼽실 인사를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에서 
'구푸리다'는 "몸을 앞으로 구부리다."는 뜻입니다.
'구부리다'는 "한쪽으로 구붓하게 굽히다"는 뜻이고,
'구붓하다'는 "약간 굽은 듯하다"는 뜻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80
2036 [2008/05/27] 우리말) 늘키다(억지로 참으며 울다) id: moneyplan 2008-05-28 3990
2035 [2007/05/18] 우리말) 고마움과 감사 id: moneyplan 2007-05-18 3988
2034 [2008/07/11] 우리말) 산보, 산책, 걷기, 거닒 id: moneyplan 2008-07-11 3987
2033 [2016/04/22] 우리말) 생사여부 머니북 2016-04-22 3986
2032 [2013/03/21]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머니북 2013-03-21 3986
2031 [2012/05/24] 우리말) 주스 머니북 2012-05-24 3986
2030 [2007/01/08] 우리말) 카드사 수수료 인하 거부 id: moneyplan 2007-01-08 3986
2029 [2013/03/12] 우리말)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3985
2028 [2008/03/03]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3-03 3985
2027 [2013/02/13] 우리말) 시계제로 머니북 2013-02-13 3982
2026 [2011/07/18] 우리말) 말과 글은 쉽게... 머니북 2011-07-18 3980
2025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3980
2024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3979
2023 [2010/05/31] 우리말) 사전 이야기 id: moneyplan 2010-05-31 3978
2022 [2014/03/03] 우리말) 뒤돌아보다/되돌아보다 머니북 2014-03-03 3975
2021 [2012/12/13] 우리말) 연인이란? 머니북 2012-12-14 3975
2020 [2011/07/22] 우리말) 표정 머니북 2011-07-22 3974
2019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970
2018 [2011/1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11-09 3969
2017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