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23]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982 추천 수 0 2012.10.23 16:50:18

오늘 문제입니다
제가 우리말 편지에서 여러 번 말씀 드린 낱말입니다
오늘처럼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갠 뒤라 그런지 어제와는 전혀 다른 추위네요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라서 더 추운가 봅니다

어제 말씀드린 대로 오늘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

우리말 편지를 보낸 게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
어찌어찌 하다 보니별 내용도 없으면서 이렇게 오래 보내고 있네요.
아마 앞으로도 제 손가락이 부러지지 않는다면 꾸준히 보낼 것 같습니다. ^^*

우리말 편지는 우리나라 안에 계시는 분들도 받아보시지만,
나라 밖에 계시는 분들도 많이 받아 보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야 이메일 주소와 몇 분의 이름밖에 모르기에 어떤 분이 어디에 계신지 전혀 모르지만,
그래도 오늘 문제는 나라밖에 계신 분께 내드립니다. ^^*

오늘 문제입니다
제가 우리말 편지에서 여러 번 말씀 드린 낱말입니다
오늘처럼 비가 갠 뒤에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비가 그치고 난 뒤, ???하느라고 바람이 몹시 매서웠다처럼 씁니다.

문제를 맞히신 분 가운데 세 분(우리나라 밖에 계시는 분)을 골라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이 또한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제가 드리는 선물은 제 용돈을 아껴서 제가 만든 것이며,
제가 발품을 팔아 우체국에 가서,
제 돈으로 우표를 사서 부칩니다.
절대 누구 도움받아서 보내드리는 게 아닙니다.
제가 공무원이다 보니 국가 세금으로 선물 만들어서 제 맘대로 뿌린다고 걱정하시는 분이 계실까 봐 말씀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저희 집에 드디어 김치냉장고를 샀습니다.
이제는 저도 그 좋아하는 김치를 날마다 먹을 수 있겠네요. ^^*

오늘은 김치 이야기를 좀 할게요.
김치는 침채(沈菜)에서 왔다고 합니다.
딤채짐채김채 따위로 바뀌면서 오늘날 '김치'가 되었다고 하네요.
이러한 뿌리에 따라 침장(沈藏)이 김장이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드리고 싶은 말씀은 김치를 로마자로 어떻게 쓰느냐는 겁니다.
영어로 어떻게 쓰느냐가 아니라 로마자로 어떻게 쓰는냐입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김치를 kimchi gimchi로 쓰는 것은 영어로 쓰는 게 아니라 로마자로 쓰는 것이라는 것을 말씀드린 겁니다.

그럼 김치를 로마자로 쓰면 kimchi가 맞나요, gimchi가 맞나요?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현재 쓰는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첫 자음의 ㄱ은 g로 써야 합니다.
따라서 김치는 gimchi가 맞지만,
나라밖에 'kimchi'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그러한 표기도 함께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게 태권도입니다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Taegwondo로 써야 하나 Taewondo로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좀 다른 것을 짚어보죠.
김치가 고유명사인가요?
고유명사라면 gimchi가 아니라 Gimchi로 써야 합니다.

아쉽게도
김치는 특정한 대상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므로 고유 명사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라면 '김치'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지 않습니다.

쥐꼬리만한 월급 받는 말단 공무원인 저도,
이제는 사람답게 살 수 있습니다. ^^*

기분이 좋아 하나만 더 짚고 갈게요.
김밥 만드는 김을
영어아니 로마자로 쓰면 kim이 아니라 gim입니다.
죽었다 깨나도 nori는 아닙니다.

기무치가 아닌 김치가 세계 표준어이듯
노리(のり[노리])가 아닌 김(gim)이 세계 표준어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92
996 [2010/04/22] 우리말)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id: moneyplan 2010-04-22 3684
995 [2013/10/22] 우리말) 인사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머니북 2013-10-22 3684
994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684
993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685
992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685
991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686
990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686
989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686
988 [2014/02/28] 우리말) 날탕과 생무지 머니북 2014-02-28 3686
987 [2007/04/21] 우리말) 그냥 제 넋두리입니다 id: moneyplan 2007-04-23 3688
986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688
985 [2016/04/26] 우리말) 얘기와 예기 머니북 2016-04-27 3688
984 [2008/09/08] 우리말) 휘장걸음 id: moneyplan 2008-09-08 3689
983 [2009/04/21] 우리말) 밥힘과 밥심 id: moneyplan 2009-04-24 3689
982 [2011/07/05] 우리말) 갈망 머니북 2011-07-05 3689
981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689
980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689
979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3690
978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690
977 [2015/08/06]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2) 머니북 2015-08-06 3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