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2/27] 우리말) 길

조회 수 3342 추천 수 0 2012.12.27 09:34:55

물건에 손질을 잘하여 생기는 윤기도 ''이라고 합니다.
그 집 장독은 길이 잘 나 있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낮부터는 날씨가 좀 풀린다고 합니다.

1. 
어제 보낸 편지에서 '년월일'이라 썼는데요.
"
해와 달과 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연월일'이 바릅니다.

2.
어제 보낸 편지를 보시고 월을 쓸 때 03처럼 앞에 숫자를 쓰는 것을 물어보신 분이 계십니다.
1919. 3. 1.
이 맞고 '03'으로 쓰는 것은 틀립니다.

3.
오늘 아침 KBS뉴스에서 인수위 대변인이 나오셔서 인수위를 '단촐하게꾸릴 거라고 했고,
자막도 '단촐'이라고 나왔습니다.
"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 '단출하다'입니다.

4. 
우리말에 ''이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자동차 따위가 지나갈 수 있게 땅 위에 낸 일정한 너비의 공간도 길이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삶이나 사회적ㆍ역사적 발전 따위가 전개되는 과정도 ''입니다.
그래서 이제까지 살아온 고단한 길인류 문명이 발전해 온 길처럼 쓸 수 있습니다.
거기에,
물건에 손질을 잘하여 생기는 윤기도 ''이라고 합니다.
그 집 장독은 길이 잘 나 있다처럼 씁니다.

며칠 남지 않은 올해를 잘 마무리해서
여러분 삶의 길에 길이 잘 나서 내년에도 하고자 하는 모든 일이 잘 풀리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
여덟 시 삼 분]

안녕하세요.

저는 아침마다 오늘은 무엇으로 우리말 편지 밥상을 차리나...'라는 고민을 합니다.
오늘도 고민하면서 집을 나서는데 딸내미가 그것을 풀어주네요.
딸아이는 제 일터 어린이집에 다니느라 아침에 집에서 같이 나섭니다.
일터에 나오면서 차 안에서 시계를 가리키며,
"
지금 몇 시야?"라고 물었습니다.
딸내미가 
"
팔 시 삼 분"이라고 말하데요.

"
점 앞에는 시이고 뒤는 분인데 앞에는 하나둘처럼 읽고뒤에는 일삼으로 읽는단다.
그래서 지금(8:3)은 여덟 시 삼 분[여덜시 삼분]이라고 읽어야 한단다."
"
왜 그렇게 읽어야 해요팔 시 삼 분이라고 하면 안 돼요?"
"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을 읽을 때는 그렇게 읽는단다."
"
아빠 그럼 팔 시 세 분이라고 해도 안돼요?"
"
팔 시 세 분여덟 시 삼 분을 그렇게 읽으면 안 되냐고안 되지..."
"
왜 안되는데요?"
"
... 그건 말이다.... 아빠가 공부해서 나중에 알려줄게신호등 바뀌었다빨리 가자."

아침부터 진땀 뺐었습니다. ^^*

우리말에서 수를 쓰거나 읽는 방법을 따로 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대략적인 경향과 흐름만 있을 뿐입니다
시를 나타내는 경우 '' '시간앞에서는 고유어계(하나...)로 읽지만
'
', ''이나 '', '앞에서는 한자어계(...)로만 읽습니다.
왜 그럴까요?

시장에서 "사과 한 개 주세요."라고 하지 "사과 일 개 주세요."라고는 안 합니다.
사과 열 개라고 하지사과 십 개라고는 안 합니다.
그러나 50개는,
사과 오십 개라고 하지사과 쉰 개라고는 별로 안 합니다.(나이에 따라 좀 다르더군요. ^^*)

구미호는
"
꼬리가 아홉 개 달린 여우" "꼬리가 구 개 달린 여우"라고는 안 합니다.

"
한 지점에서 길이 네 방향으로 갈라져 나간 곳" '사거리'라고도 하고 '네거리'라고도 합니다.
둘 다 표준말입니다.

어떤 때는 하나... 하고,
어디까지 일... 해야 하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사거리보다 네거리가 더 좋은 것은 분명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30
1976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93
1975 [2014/08/07] 우리말) 해까닥과 회까닥 머니북 2014-08-11 3728
1974 [2014/08/06] 우리말) 호치키스와 마사무네 머니북 2014-08-06 4414
1973 [2014/07/31] 우리말) 비게질 머니북 2014-07-31 3326
1972 [2014/07/30] 우리말) 발맘발맘 머니북 2014-07-30 4521
1971 [2014/07/29]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9 3388
1970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54
1969 [2014/07/28] 우리말) 일찍이 머니북 2014-07-28 3463
1968 [2014/07/25]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5 3192
1967 [2014/07/24] 우리말) 사투리와 표준말 머니북 2014-07-25 3517
1966 [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머니북 2014-07-23 3562
1965 [2014/07/21] 우리말) 누가 '전기세'를 걷나? 머니북 2014-07-21 4389
1964 [2014/07/18] 우리말) 즈런즈런 머니북 2014-07-18 3017
1963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631
1962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349
1961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3163
1960 [2014/07/14] 우리말) 날떠퀴 머니북 2014-07-14 3308
1959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957
1958 [2014/07/08] 우리말) 너더댓새 머니북 2014-07-08 2957
1957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