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조회 수 11365 추천 수 0 2012.12.28 14:13:07

'매무시'는 "옷을 입을 때 매고 여미는 따위의 뒷단속"이고,
'매무새'는 "옷, 머리 따위를 수습하여 입거나 손질한 모양새."입니다.
곧, 매무시를 잘하면 매무새가 좋은 거죠.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없이 바빴네요. 이제야 자리에 앉아 편지를 씁니다. ^^*

1.
광화문 현판이 결국 '門化光'으로 달리게 되었네요.
어제 오후에 그렇게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우리나라 한가운데, 서울의 얼굴이 경복궁이고 광화문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광화문 광장에 우리가 자랑스럽게 여기는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겠죠.
그 동상 바로 뒤가 경복궁입니다.
세종대왕이 그 경복궁에서 한글을 만드셨고, 광화문이란 이름도 세종대왕이 지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현대의 광화문은 경복궁을 들어가는 문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 수도 서울의 상징이라고 보는 게 더 어울릴 겁니다.
바로 그런 경복궁의 현판입니다. 
처음에는 한자로 '門化光'이라 달았지만, 언젠가 불타서 없어지고 그 글꼴을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시 쓰면서 한글로 '광화문'이라서 써서 달았습니다.
그러다 지금 다시 한자 '門化光'으로 단다고 합니다.
어떤 게 문화재 복원의 원칙인지 모르겠습니다.
차마 뭐라 더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없는 제 자신이 밉습니다.

2.
어제 보낸 편지 밑에 붙은 예전에 보낸 편지를 보시고 채영현 선생님께서 이런 답장을 보내주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날마다 보내주시는 우리말 편지를 항상 고마운 마음으로 읽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여덟 시 삼 분'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국어문법을 가르칩니다. 이것과 관련된 내용이 문법 책에 나옵니다. 옮겨 보겠습니다.
" 국어에서 '시'를 말할 때에는 '한, 두, 세, 네, 다섯'처럼 고유어를 쓰고, '분, 초'를 말할 때에는 '일, 이, 삼,사'처럼 한자어를 쓴다. 이는 관습적인 언어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시'는 오래 전부터 쓰던 단위로 고유어와 어울릴 수 있었으나, '분, 초'는 근대 이래 한자어를 쓰는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시계 문화가 들어오면서 중국, 일본식으로 쓰인 단위로, '일 분', '일 초' 등이 하나의 단위로 들어왔기 때문이다."[고등 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발행]


좋은 글을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 ^^*

3.
언젠가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에서
나이가 들수록 세상과 싸우려 하지 않고 세상 흐름에 따라 살게 된다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살긴 하지만 세상이 점점 더 무서워 지는 것도 어쩔 수 없나 봅니다.
그래서 요즘처럼 한해를 정리하거나, 뭔가를 짚고 넘어가야 할 때면 일부러 옷을 단정히 하고 마음을 다잡게 됩니다.
그게 삶에 대한 예의라고 보니까요.

자주 헷갈리는 낱말로 매무새와 매무시가 있습니다.

'매무시'는 "옷을 입을 때 매고 여미는 따위의 뒷단속"이고,
'매무새'는 "옷, 머리 따위를 수습하여 입거나 손질한 모양새."입니다.

곧, 매무시를 잘하면 매무새가 좋은 거죠.

올 한 해가 곧 끝나갑니다.
옷매무시 잘해서 좋은 매무새로 올해를 정리하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누룽지와 눌은밥]

오늘은 아침 일찍 서울에 가야 합니다.
제 일터가 국정감사를 받는 날이거든요. 
잘 끝나겠죠? ^^*

제가 일하는 일터에는 큰 식당이 있습니다.
거의 날마다 그곳에서 점심과 저녁을 먹는데요.
그제, 그곳에서 일하시는 영양사 선생님이 큼지막한 뭔가를 주시더군요, 집에 가서 애 주라시면서...
이게 그겁니다.



제 아들이 든 노르께한 저걸 보고 뭐라고 하죠?
'누룽지'라고 하시는 분도 계시고, '눌은밥'이라고 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누룽지'와 '눌은밥'은 분명히 다릅니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이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입니다.

따라서
제 아들이 든 저 딱딱한 것은 '누룽지'이고,
밥 먹은 뒤 입가심하려고 먹는 누룽지에 물을 부어 불린 것은 '눌은밥'입니다.

우리는 흔히 식당에서 밥 다 먹고 입가심할 때,
'여기 누룽지 주세요!'라고 하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누룽지를 달라'고하면 아마도 집에 가실 때 가져가게 봉투에 누룽지를 담아주실 겁니다. ^^*



영양사 선생님 덕분에 그제 저녁은 무척 행복했습니다. ^_____^*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점심 먹다, 저녁 먹다는 말이 틀린 게 아닙니다.
'아침'에는
'날이 새면서 오전 반나절쯤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 있지만 '아침밥'이라는 뜻도 있고,
'저녁'에도
'해가 질 무렵부터 밤이 되기까지의 사이'라는 뜻과 '저녁밥'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침 끼니로 먹는 밥'은 '아침'이라고 해도 되고 '아침밥'이라고 해도 됩니다.

저는 오늘 어디서 아침을 먹을 수 있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440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49749
1636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6691
1635 [2013/01/23] 우리말) 백조와 고니 머니북 2013-01-23 6239
1634 [2013/01/22] 우리말) 사거리와 네거리 머니북 2013-01-22 7418
1633 [2013/01/21] 우리말) 땡땡이 무늬 머니북 2013-01-21 7492
1632 [2013/01/18] 우리말) 해 질 녁 머니북 2013-01-18 5669
1631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5948
1630 [2013/01/16] 우리말) 현수막과 횡단막 머니북 2013-01-16 5853
1629 [2013/01/15] 우리말) 사돈 머니북 2013-01-15 7524
1628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6734
1627 [2013/01/11]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3-01-11 7455
1626 [2013/01/10] 우리말) 편지를 읽고... 머니북 2013-01-10 5511
1625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6825
1624 [2013/01/08] 우리말) 휴마트 머니북 2013-01-08 10018
1623 [2013/01/07] 우리말) 북과 북돋우다 머니북 2013-01-07 5163
1622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4838
1621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6735
1620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5694
1619 [2012/12/31] 우리말) 운김 머니북 2013-01-02 7191
»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11365
1617 [2012/12/27] 우리말) 길 머니북 2012-12-27 5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