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23] 우리말) 백조와 고니

조회 수 3466 추천 수 0 2013.01.23 09:21:12

'고니'를 아시죠
흔히 우리가 백조(白鳥)라고 하는 새가 바로 '고니'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밖에 나가서 후배와 같이 점심을 먹었습니다.
세종시 옆에 있는 청원에 가서 금강에서 잡은 고기로 만든 민물 매운탕을 먹었습니다.
점심을 먹고 잠깐 금강 옆을 거닐었는데이름 모를 오리와 새들이 많이 놀고 있더군요.
그 새를 보면서도 저는 딸래미가 떠올랐습니다
오리도 새끼들과 같이 다니는데저는 이렇게 혼자 떨어져 있으니...

1.
'
고니'를 아시죠
흔히 우리가 백조(白鳥)라고 하는 새가 바로 '고니'입니다.

2.
'
해오라기'라는 새가 있습니다
왜가릿과 새로머리와 등은 녹청색 금속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뒷머리에 여러 가닥의 길고 얇은 흰색 댕기가 있는 그 멋진 녀석 있잖아요. ^^*
이 해오라기의 옛말이 '하야로비'입니다
어제 점심때 제가 본 새가 백로인지고니인지잘 모르겠습니다해오라기는 아니었습니다. ^^*

3.
어제 오후에 이대로 님 페이스북에서 본 글인데요.
세종시에 사시는 분이 이대로 님께 전화해서
세종시가 우리말로 지은 동 이름과 학교 이름을 한자말로 바꾸니 막아달라고 했다네요.
그게 사실이라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세종시는 세종시라는 도시 이름에 걸맞게 세종대왕 정신을 이어받아 동 이름과 길다리 등의 이름을 국민공모를 거쳐 순우리말로 지었습니다.
근데 그걸 다시 한자 이름으로 바꾼다는 것 같습니다.
사실이 아니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저 어렸을 때 들은 이야기인데요.
'
백조의 호수'를 전라도 말로 바꾸면 뭐라고 하는지 아세요?
바로,
.
.
.
.
.
'
둠벙 우에 때까우'라고 한다네요.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가없는 사랑]

안녕하세요.

고향에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갈 때는 쉽게 갔는데 올 때는 무려 열다섯 시간이나 걸렸습니다.
해남... 정말 멀더군요. ^^*

그렇게 어렵게 고생하며 간 고향이지만 그래도 어머니 손 한번 잡고 오면 다시 힘이 납니다.
또 올라올 때 어머니가 이것저것 바리바리 싸 주시잖아요.
꾸준히 뭔가를 주시고도 또 주시는 것이 바로 부모님의 사랑인가 봅니다.

흔히,
부모님의 큰 사랑을 말할 때 '가이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아닙니다. '가없는 사랑'이 맞습니다.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가장자리'라는 뜻이죠.
따라서 '가없다' 
끝을 알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뜻일 겁니다.

고향에 가셔서 부모님 뵙고,
삶에 찌든 때를 다 벗기고 오셨으니
이제 새롭게 시작합시다. ^^*

저도 아침에 결재 들어가려고 한 시간쯤 전에 나와서 
벌써 한 건 해치웠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6
1256 [2014/03/24] 우리말) 섣부르다 머니북 2014-03-24 3600
1255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601
1254 [2008/09/05] 우리말) 얼만큼과 얼마큼 id: moneyplan 2008-09-05 3601
1253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601
1252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602
1251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02
1250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602
1249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603
1248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04
1247 [2008/11/13] 우리말) 안간힘[안깐힘] id: moneyplan 2008-11-13 3604
1246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604
1245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604
1244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604
1243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604
1242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604
1241 [2014/01/21] 우리말) 사전 머니북 2014-01-21 3605
1240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605
1239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605
1238 [2011/12/21] 우리말) 종군위안부(2) 머니북 2011-12-21 3606
1237 [2014/09/22] 우리말) 야식과 밤참 머니북 2014-09-22 3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