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28] 우리말) 연배

조회 수 3514 추천 수 0 2013.01.28 09:10:33

'연배'는 그냥 나이를 뜻하는 게 아니라 "비슷한 또래의 나이"를 뜻합니다.(또는 그런 사람)
연배라 말을 트고 지낸다, 같은 연배이어서 잘 어울려 노는구나처럼 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같이 정신없이 보내다 보니 감기님께서 질투를 하셨는지 떠나가실 준비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1. 
어젯밤에 본 개그콘서트에서 '잉꼬부부'라는 말을 했습니다.
다정하고 금실이 좋은 부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은 '원앙부부'가 바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잉꼬부부'를 찾아보면 '원앙부부'로 다듬었다고 나옵니다.

2.
오늘 제가 일하는 곳에 새로운 직원이 옵니다.
아직 누군지 모르지만, 아무래도 저와 연배가 오면 쉽게 친해지고 좋을 것 같습니다. ^^*
우리말에 '연배'가 있습니다.
'연배'는 그냥 나이를 뜻하는 게 아니라 "비슷한 또래의 나이"를 뜻합니다.(또는 그런 사람)
연배라 말을 트고 지낸다, 같은 연배이어서 잘 어울려 노는구나처럼 쓸 수 있습니다.
연배건 아니건 새로 오신 분을 기쁘게 맞을 겁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면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안녕하세요.

언젠가 제 병을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책 내용보다는 맞춤법 틀린 게 눈에 먼저 띄는 이상한 병이 있다고...

그 병은 언제 어디서나 나타납니다.
술을 마실 때는 그 자리를 즐겨야 하는데,
술잔을 '기우리'는 게 맞는지 '기울이'는 게 맞는지가 떠오르니... 제 병도 참 심각합니다. 쩝...

"비스듬하게 한쪽이 낮아지거나 비뚤어지다."는 뜻의 낱말은 '기울다'입니다.
"마음이나 생각 따위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다."는 것도 '기울다'입니다.
이 기울다의 사동형이 '기울이다'입니다.
(북한에서는 사동형을 시킴형이라고 합니다.)

요즘 우리나라 사전에 '기우리다'는 없습니다. 예전에 쓰던 낱말입니다.
비스듬하게 비뚤어지거나 마음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은 '기울이다'입니다.
따라서,
기울이고, 기울이니, 기울이면, 기울여, 기울이지처럼 쓸 수 있지,
기우리고, 기우리니, 기우리면, 기우려, 기우리지처럼 쓰면 안 됩니다.
노력을 기울이다, 술잔을 기울이다, 관심을 기울이다, 앞으로 기울이다, 정성을 기울여...처럼 쓰셔야 합니다.

'기울이다'의 큰말이 '갸울이다'입니다.
'기울이다'의 센말은 '끼울이다'이고 '갸울이다'의 센말은 '꺄울이다'입니다.

저는 어제 초저녁에는 술잔을 기울였지 기우리지 않았습니다.
근데 나중에는 저도 모르게 우럭우럭한 얼굴로 술잔을 갸울이고 있더군요.
옆을 보니 친구들도 해닥사그리해져 술잔을 꺄울이고 있었습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국립국어원 누리집 묻고 답하기에 들어가 보니,
어떤 분이 '관심을 기울이다', '귀를 기울이다', '술잔을 기울이다'는 모두 일본어에서 온 말로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이냐고 물었습니다.
국립국어원 답변은 
'관심을 기울이다'가 일본어에서 온 것인지는 조금 더 검토해 보아야 할 듯합니다. 
그런데 '관심을 기울이다'가 썩 우리말다운 표현은 아니므로 '~에 관심이 있다' 혹은
'~에 관심을 두다' 정도로 고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만, 
우리말 문장이라는 느낌이 전혀 없는 어색한 번역투가 아니라면 굳이 잘못이라 볼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라고 답변하셨네요.


오늘은 이상하게 편지를 길게 쓰고 싶네요. 여러분과 닿는 끈을 놓기 싫어서... ^^*
앞에서,
"요즘 우리나라 사전에 '기우리다'는 없습니다"라고 했는데요.
사전(辭典)을 순 우리말로 하면 뭐가 될까요?
문제입니다. 맨 처음 맞히시는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실은 그 답은 없습니다. 사전을 뜻하는 순 우리말은 없습니다.
다만, 
주시경 선생님 등이 1910년 무렵에 조선 광문회에서 편찬하다 끝내 마무리를 짓지 못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 이름을 요즘 사람들이 '사전'이라는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게 뭘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99
1556 [2012/04/17] 우리말) 문해율 머니북 2012-04-17 3556
1555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556
1554 [2014/11/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머니북 2014-11-14 3556
1553 [2008/01/09] 우리말) 속긋 id: moneyplan 2008-01-09 3557
1552 [2016/12/16] 우리말) 거멀못 머니북 2016-12-19 3557
1551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558
1550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58
1549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3558
1548 [2017/01/31] 우리말) 벼슬과 볏 머니북 2017-01-31 3559
154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59
1546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560
1545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60
1544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60
1543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560
1542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561
1541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61
1540 [2014/08/27]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머니북 2014-08-27 3562
1539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562
1538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3564
1537 [2014/09/15] 우리말) 산책과 산보 머니북 2014-09-15 3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