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조회 수 5230 추천 수 0 2013.02.01 09:25:51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입니다.
클 거 자()를 떠올려서 그러시는지 '건하다' '거하다'로 쓰시는 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건하게 마셨다건하게 취하다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소리 없이 겨울비가 내리는 금요일 아침입니다.
몇 시간 열심히 일하면 이틀을 쉴 수 있다는 데 감사하며 오늘도 열심히 일하시죠. ^^*

어제 녁에는 조치원에서 친구들을 만나 한잔했습니다.
그 자리가 끝날 때쯤 제 머릿속에서는 두 가지 선택을 두고 열심히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기차를 타고 대전으로 가서 유성에 있는 집으로 갈 것인지,
반대쪽으로 가는 기차를 타고 수원 집으로 가서 애들을 볼 것인지...
오늘이 목요일이라 하루만 있으면 보긴 하는데...
여러 가지 생각이 머릿속에서 왔다 갔다 하면서도 제 몸은 이미 수원 가는 기차에 올라있었습니다. ^^*

수원집에 들어가니 12시가 넘었더군요.
잠자는 애들을 조용히 안아주고 저도 잠에 빠졌습니다.
아침에도 자는 애들 볼에 가볍게 뽀뽀해주고 일찍 나왔습니다.
이곳 세종시까지 오려면 2시간이 넘게 걸리니까요.

아마 어제저녁에 술을 한잔해서 애들이 더 보고 싶었나 봅니다.

오랜만에 술 이야기 좀 할게요. ^^*
흔히 술 따위에 어지간히 취한 상태에 있을 때 '거나하다'고 합니다.
거나한 목소리거나하게 취한 얼굴술기운이 거나하게 돌다술이 거나하게 취하다처럼 씁니다.

'
거나하다'의 준말이 '건하다'입니다.
앞에서와같이
건한 목소리건하게 취한 얼굴술기운이 건하게 돌다술이 건하게 취하다처럼 써야 합니다.

클 거 자()를 떠올려서 그러시는지
'
건하다' '거하다'로 쓰시는 분이 있습니다.

거하게 마셨다거하게 취하다처럼 쓰는 거죠.
그러나 이는 건하게 마셨다건하게 취하다가 바릅니다.

오늘 저녁에는 조치원에서 마시지 않고 수원에서 마십니다.
술기운이 건하게 돌기 전에 일찍 들어가서 맨정신에 애들을 꼭 안아주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보태기)
'
거나하다'의 풀이가 "술 따위에 어지간히 취한 상태에 있다."이므로
'
술이 거나하게 취하다'라고 하면 '취하다'를 두 번 쓰는 꼴입니다.
그러나 사전 풀이에 그런 보기가 있어서 여기에 옮겼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드러눕다]

안녕하세요.

고향에 잘 다녀오셨나요?
설마 고향에 가셔서 뒷방에만 드러눕다 오신 것은 아니시죠?

먼 길 다녀오셨으니,
아내 어깨도 주물러 주시고,
아이들은 부모님 안마도 좀 해 드리시길 빕니다.

흔히,
어딘가에 편하게 누운 것을 보고,
'
들어눕다'고 하시는데이것은 틀린 겁니다. '드러눕다'가 바릅니다.
'
들어눕다'는 낱말은 없습니다.

먼 길 운전하고 오셨지만
그래도 고향에 다녀오시면 기분이 좋죠?
'
고향'은 그 낱말만으로도 마음이 포근해집니다.
이 기분이 죽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7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99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06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23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60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73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82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02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04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15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18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23
2666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34
2665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35
2664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42
2663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42
2662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49
2661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52
2660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53
2659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54
2658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857
2657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