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각시현아 씨,
무모하게 나를 선택해 줘서 고맙고,
8
대 독자 낳아줘서 고맙고,
늦둥이 낳아줘서 또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어머니가족누나 이야기 따위를 하는데요.
왜 아내 이야기는 한 번도 하지 않느냐고 묻는 분이 계셨습니다.
실은 가끔 하는데요. ^^*

오늘이 셋째 지원이 생일입니다오늘이 이 세상에 태어난 지 24개월이 된 거죠.
2
년 전 애가 태어났을 때 
MBC 
여성시대를 통해 아내에게 쓴 편지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애 생일을 맞아 그 편지를 다시 소개합니다.

돌아가신 저희 아버지는 6대 독자입니다
딸을 낳고 나서 저를 낳으셨습니다
제 뒤로도 딸딸이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1 7녀에 7대 독자입니다.

그런 제가 결혼을 했습니다
어떤 속없는 아가씨가 시누이가 일곱이나 있고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7대 독자에게 시집을 오더군요

결혼하고 6년 만에 어렵게 첨단과학의 도움으로 첫 애를 낳았습니다
큰딸입니다
그로부터 2년 뒤 자연산(?)으로 아들을 낳았습니다
걔가 8대 독자입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강산이 일곱 번이나 바뀌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7년 터울로 셋째가 태어났습니다

그게 딱 10일 전이네요. ^^* 
애 엄마가 마흔이 넘어서 노산인데다임신성 당뇨가 있고양수가 많아 위험하다면서 종합병원으로 옮겨 현대과학의 힘을 조금 빌려 애를 낳았습니다

사랑하는 각시현아 씨,
무모하게 나를 선택해 줘서 고맙고,
8
대 독자 낳아줘서 고맙고,
늦둥이 낳아줘서 또 고맙습니다.
늦둥이 잘 키우려면 우리가 건강해야 해늘 웃으면서 건강하게 살자~~~! 



이런 편지가 2년 전 라디오에 소개되었습니다.
오늘 저녁에 집에 가서 셋째 생일을 축하해줘야 하는데,
저는 오늘 일터에서 숙직을 서야 합니다.
하필 이런 날... ^^*

주말 잘 보내시길 빕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지난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노지가 아니라 밖한데]

"
경기 여주서 올해 첫 노지 벼 수확"이라는 꼭지의 기사가 있네요.
여러분 '노지'가 뭔지 아세요?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꼭 많은 낱말을 쓴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필요없는 말도 많고안 쓸수록 좋은 낱말도 많습니다.

노지(露地)
이슬 로 자와 땅 지 자를 써서
"
지붕 따위로 덮거나 가리지 않은 땅."을 말합니다.
, ''이고 '한데'.

따라서 '올해 첫 노지 벼 수확'
'
올해 첫 밖 벼 수확'이라는 뜻이 됩니다.

벼는 주로 밖에서 자라죠?
논이 방안에 있지는 않잖아요.
그렇다면 ''을 빼도 됩니다.
그냥 '올해 첫 벼 수확'이라고 하면 더 낫지 않나요?

물론 하우스에서 자라는 벼도 있기에 일부러 밖이라는 것을 강조한 걸 겁니다.

좀더 나가보죠.
제가 농업 일을 하다 보니 농업에 있는 엉터리 말이 많이 보입니다.

'
수도'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지금도 농업관련 교과서에 많이 나옵니다.
水稻로 "논에 물을 대어 심는 벼."를 뜻합니다.

'
육도'도 있습니다.
陸稻로 육지에서 키우는 "밭벼"입니다.

쉽고 좋은 우리말을 쓰면 좋은데 왜 굳이 어려운 한자 낱말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가 나서서 우리말을 사랑해야
온 누리 사람들이 우리말우리글을 높이 쳐다보게 됩니다.

한자건 한글이건
'
노지', '호우', '화훼'라 써 놓으면 우리말을 죽습니다.
꼭 露地豪雨花卉라고 써야만 우리말이 죽는 것은 아닙니다.
한데큰비꽃이라 써야 우리말이 삽니다.

우리 말이 죽으면 우리 얼도 죽습니다.
그럼 우리는 얼빠진 사람들이 됩니다. ^^*
얼빠진 사람들만 사는 나라가 제대로 돌아가겠어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73
1696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57
1695 [2014/06/11] 우리말) 문문하다 머니북 2014-06-11 3656
1694 [2010/11/09] 우리말) 만듬과 만듦 moneybook 2010-11-09 3656
1693 [2010/09/29] 우리말) 코스모스 moneybook 2010-09-29 3656
1692 [2010/04/22] 우리말)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id: moneyplan 2010-04-22 3656
1691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656
1690 [2014/02/28] 우리말) 날탕과 생무지 머니북 2014-02-28 3655
1689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655
1688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654
1687 [2012/05/09] 우리말) 보다 머니북 2012-05-09 3654
1686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654
1685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654
1684 [2013/10/22] 우리말) 인사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머니북 2013-10-22 3653
1683 [2008/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 id: moneyplan 2008-03-14 3653
1682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52
1681 [2008/01/23] 우리말) 곰팡스럽다 id: moneyplan 2008-01-23 3651
1680 [2007/08/10] 우리말) 우뢰와 우레 id: moneyplan 2007-08-13 3651
1679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651
1678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50
1677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