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4/15] 우리말) 타래박과 파래박

조회 수 3806 추천 수 0 2013.04.15 09:39:03

혹시나 하는 마음에 사전을 뒤져보니 '파래박'이라는 낱말이 나왔습니다.
"
배 안에 들어온 물을 퍼내는 데 쓰는 바가지."라네요. ^^*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고향에 갔다가 얼떨결에 구두 신고 무등산에까지 올랐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제가 무등산에 오른 게 25년 만이더군요.
그동안 저는 산이라고는 마을 뒷산 한 번도 안 갔으니...

월요일 아침입니다.
며칠 전 차 안에서 책을 읽다 '파래박'이라는 낱말을 봤습니다.
배 바닥에 구멍이 나서 열심히 파래박으로 물을 퍼낸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저는 '파래박'이라는 낱말을 처음봤습니다.
그래서 타래박을 잘못 쓴 것으로 생각했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사전을 뒤져보니 '파래박'이라는 낱말이 나왔습니다.
"
배 안에 들어온 물을 퍼내는 데 쓰는 바가지."라네요. ^^*

이렇게 오늘 하루도 배움으로 시작합니다.
늘 배우면서 살면 즐겁잖아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가위표와 가새표]

안녕하세요.

저는 토요일이 참 좋습니다이렇게 늦게 나올 수 있잖아요. ^^*

지난주 토요일딱 일주일 전에 저는 딸아이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이제 겨우 다섯 살(45개월)인데 편지를 써서 주더군요.
오늘은 그 이야기 좀 할게요마침 토요일이라...^^*
(
토요일에는 우리말이나 맞춤법이야기를 보내기도 하지만가끔 제가 살아가는 이야기도 보냅니다.)

'
오늘 엄마 퇴원하시는 날이니 집 청소 좀 하자저것은 네 장난감이니 네가 치워라아빠는 방과 거실을 청소할게.'
'......'
'
저것좀 치우라고네가 가지고 놀았으니 네가 치워야지안 그래?'
'......'
'
오늘 엄마 퇴원해서 집에 오시는데 이렇게 어지럽게 장난감을 널어놓으면 되겠어이러다 넘어지시면 엄마 또 병원에 입원하실 수도 있잖아빨리 치워!'

티격태격하다 결국 제가 장난감을 대충 상자에 담고 청소를 시작했습니다.
한창 청소하는데
딸내미가 뒤에서 저를 콕콕 찌르더니
'
아빠편지'하면서 종이를 주더군요.
바로 이겁니다.

s_
첫편지.jpg

'
성제훈X'

'
이게 무슨 뜻이야?'
'
아이 참 아빠 엑스라고오~'
'
엑스가 뭔데?'
'
그것도 몰라아빠 밉다고오~'
'......'

제가 이 녀석을 어떻게 만들었는데,
제가 이 녀석을 얼마나 사랑하는데,
저에게 처음 편지를 주면서 감동을 선사하더니,
알고 보니 그 뜻이 아빠가 밉다라니...

울어야할지 웃어야할지...
딸내미 편지를 받아서 기쁘긴 한데뜻이 영 거시기하네요
그래도 좋습니다저에게 어떻게 온 딸인데요저는 그저 기쁩니다. ^^*

오늘은 딸내미가 쓴 'X'이야기를 해 볼게요.

O, X
를 여러분은 어떻게 읽으세요?
'
', '엑스'?
'
동그라미', '가위표'?
'
동그라미', '가새표'?

'X'
는 가새표가 맞습니다.
가새는
'
사각형으로 짠 뼈대의 변형(變形)을 막기 위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빗댄 쇠나 나무 막대'를 뜻합니다.
http://www.korean.go.kr/imgdata/image/half/a/a00016.jpg

'
가새'와 소리가 비슷한 가위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옷감종이머리털 따위를 자르는 기구로
날이 있는 두 개의 쇠를 교차시켜 가운데 사북을 박고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자르는 기구입니다.
http://www.korean.go.kr/imgdata/image/half/aa/aa537ssy.jpg

'X'

가새와 닮았지만
잘 모르는 가새보다는 흔히 보는 가위를 떠올려
'
가새표'보다 '가위표'를 더 많이 씁니다.

이런 현실을 받아들여 국립국어원에서 1999년에 사전을 만들면서
'
가새표'가 맞는 말이지만,
'
가위표'도 맞다고 복수표준어로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X' '가위표'라고 해도 되고 '가새표'라고 해도 됩니다.
둘 다 맞습니다.
그러나 '가께표' '가세표'는 틀립니다.

어찌어찌 글을 쓰다 보니,
딸내미 편지 이야기하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어쨌든, O, X
'
엑스'보다는
'
동그라미표가새표(가위표)'라고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오늘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제 딸내미에게 물어봤습니다.
'
아빠 동그라미야 가위표야?'
'
아빠는 동그라미야!'
^_____^*
이런 딸이 있어 저는 언제나 행복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사투리로 가위를 가세라고 하는 곳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67
1976 [2009/03/04] 우리말) 막장은 희망입니다 id: moneyplan 2009-03-04 3224
1975 [2009/03/05] 우리말) 임과 님 id: moneyplan 2009-03-05 3249
1974 [2009/03/06] 우리말) 엥꼬와 엔꼬 id: moneyplan 2009-03-06 3836
1973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66
1972 [2009/03/09]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id: moneyplan 2009-03-09 3240
1971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153
1970 [2009/03/11] 우리말) 노란자와 노른자 id: moneyplan 2009-03-11 3850
1969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85
1968 [2009/03/13] 우리말) skinship 정의 id: moneyplan 2009-03-13 3410
1967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3160
1966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3100
1965 [2009/03/18] 우리말) 사람 소개하는 방법 id: moneyplan 2009-03-18 3119
1964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133
1963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355
1962 [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id: moneyplan 2009-03-23 3590
1961 [2009/03/24] 우리말) 나라비 id: moneyplan 2009-03-24 3016
1960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169
1959 [2009/03/26] 우리말) 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6 3561
1958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3095
1957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