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조회 수 3130 추천 수 0 2013.05.07 09:11:17

이렇게 '보라'를 넣은 말에 '꽃보라'도 있습니다.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꽃비'를 갈음할 낱말로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맑고 깨끗한 날씨일 거라고 하네요.
오늘도 점심 먹고 호수를 한 바퀴 돌아야겠습니다. ^^*

어제 편지에서 꽃멀미와 꽃빛발을 소개해드렸습니다.
그 편지를 보시고 답장을 주신 분이 계십니다.

벚꽃이 지는 것을 두고 '꽃비'라고 하는 게 영 마음에 들지 않으셨다고 합니다.
벚꽃 지는 모습이 비보다는 눈이 내리는 모습과 더 닮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꽃눈'이 어떨까 하고 사전을 뒤져보니 바라는 뜻은 없고 꽃이 될 싹이라는 풀이만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시면서 꽃눈이란 말을 넣어 지은 시도 보내주셨습니다.

다른 한 분은
강화도 고려산 진달래꽃을 보러 갔다가 그 감흥을 나타낼 마땅한 말이 없어 고민했다고 하시면서,
'꽃멀미'가 사전에 오르면 좋겠다고 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우리말에 '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색할 때 보라도 있지만,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래서 '물보라'라고 하면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물방울"을 뜻하며,
'눈보라'라고 하면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합니다.

이렇게 '보라'를 넣은 말에 '꽃보라'도 있습니다.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꽃비'를 갈음할 낱말로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일이 많아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면 좋은 일이 자주 일어난다고 합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갑절과 곱절]

안녕하세요.

재벌 회장님이 실형을 선고받았네요.
자식이 밖에서 당한 것을 되갚아 주려다 
자신이 꾸중한 시간보다 몇 곱절 많은 시간을 힘들게 보내야 하겠네요.
어쩌다......

몇 곱절 많은 시간이 맞을까요,
몇 갑절 많은 시간이 맞을까요?

갑절은 두 배이고,
곱절은 여러 배입니다. 

따라서,
두 배의 뜻은 갑절과 곱절 다 쓸 수 있지만,
몇 배는 곱절만 쓸 수 있습니다.

재벌 회장님은
자신이 꾸중한 시간보다 몇 곱절 많은 시간을 교도소에서 보내야 하고,
자신이 생각한 것보다 몇 곱절 힘든 짐을 져야 할 것 같습니다.

정말, 어쩌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30
976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3433
975 [2016/11/22] 우리말) 장도 머니북 2016-11-22 3433
974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433
973 [2012/12/06] 우리말) 이면도로 머니북 2012-12-06 3433
972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433
971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433
970 [2007/07/05]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7-07-05 3433
969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433
968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432
967 [2009/10/20] 우리말) '가차없다'와 '가차 없다' id: moneyplan 2009-10-20 3432
966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432
965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432
964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432
963 [2010/11/08] 우리말) 첫과 첫눈 moneybook 2010-11-08 3431
96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3431
961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31
960 [2009/10/28] 우리말) 동서남북 id: moneyplan 2009-10-28 3431
959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0
958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957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