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14] 우리말) 새끼낮

조회 수 3492 추천 수 0 2013.05.14 08:49:25

우리말에 '새끼낮'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
정오가 채 되지 아니한 낮."이라는 뜻으로
아침을 걸렀더니 새끼낮부터 배가 고팠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하죠?

제가 일하는 곳은 식당이 좁아 점심을 세 번에 나눠서 먹습니다.
저는 11:30에 먹고다른 직원은 12또 다른 직원들은 12:30에 먹습니다.
이렇게 새끼낮에 점심을 먹고 호수를 한 바퀴 돌면 기분이 참 좋습니다.
그런데 어제부터는 호수를 돌지 못했습니다너무 더워서요.
다행히 저녁 먹고 한 바퀴 돌았는데요그것도 참 좋더군요. ^^*

우리말에 '새끼낮'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
정오가 채 되지 아니한 낮."이라는 뜻으로
아침을 걸렀더니 새끼낮부터 배가 고팠다처럼 씁니다.
이런 멋진 낱말은 우리부터 나서서 살려써야 하지 않을까요? ^^*

저는 오늘도 새끼낮에 점심을 먹을 겁니다.
그러나 호수는 돌지 못하고책상 앞에서 책이나 읽을 겁니다. ^^*

오늘도 늘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계란보다는 달걀을...]


안녕하세요.

느지막이 나오면서 라디오 뉴스를 듣는데 귀에 떡 하니 걸리는 게 있네요.
10
 5분쯤 97.3Mhz KBS1인데 
미국인은 테러 위험이 있으니 식당 출입을 삼가해 달라네요.
아시는 것처럼 '삼가해 달라'가 아니라 '삼가 달라'가 맞습니다.
원형이 '삼가다'잖아요.

내친김에 어젯밤에 본 방송을 좀 짚어볼게요.
KBS1 
소비자 고발이라는 방송이었는데,
PD
나 사회자 모두 줄기차게 '계란'이라고 하더군요.
오히려 미국에서 현지 인터뷰하면서는 미국에 사는 한국사람과 기자가 '달걀'이라고 했습니다.

설마하니,
달걀을 계란이라고 해야 프로그램의 전문성이 두드러질 거라는 엉터리 생각으로 일부러 그렇게 말씀하신 것은 아니겠죠?

"
닭이 낳은 알" '계란'이라고도 하고 '달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계란(鷄卵)'은 한자어이고 '달걀'은 고유어입니다
마땅히 한자어인 '계란'을 쓰는 것보다 '달걀'을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계란을 달걀로 다듬어서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닭 사료는 닭 먹이라고 해야 하고,
저렴한 계란은 싼 달걀이라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
소비자가 "큰 계란을 선호"한다고 했는데언제 '선호'를 좀 씹어보겠습니다이것도 엉터리 낱말입니다.

자동차 부품이야기 하면서 나온,
'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
'
소비자가 고를 수 있게'로 하시는 게 더 좋습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방송에서 나온 낱말 하나하나는 대한민국 백성 수천수만 명이 듣습니다.
그리고 그게 다 옳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방송에서는 바른 소리만 해야 합니다.
사실을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을 바른 언어로 전달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방송에서
'
계란'이라고 하지 않고 '달걀'이라고 한다고 해서 전문성이 떨어지는 게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시청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18
1456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474
1455 [2012/01/17] 우리말) 설과 구정 머니북 2012-01-17 3474
1454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473
1453 [2013/06/27] 우리말) 희귀난치질환 머니북 2013-06-27 3473
1452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473
1451 [2008/05/23] 우리말) 본데와 본때 id: moneyplan 2008-05-28 3473
1450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473
1449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472
1448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472
1447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472
1446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470
1445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470
1444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470
1443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469
1442 [2010/08/16] 우리말) 약오르다 moneybook 2010-08-16 3469
1441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468
1440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468
1439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468
1438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467
1437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