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29] 우리말) 필자

조회 수 3416 추천 수 0 2013.05.29 09:53:43

필자(筆者)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을 뜻하는데요.
제3자가 글을 쓴 사람을 이를 때 씁니다.
곧, 글쓴이가 자신을 이르는 낱말이 아니라는 거죠.

안녕하세요.

그리 덥지도 않고 기분 좋은 아침입니다. ^^*
날씨는 이렇게 좋은데, 저는 정신없이 바쁘네요.

신문을 보다 보면 가끔 '필자 사정으로 오늘 하루 쉽니다.'라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필자(筆者)는 "글을 쓴 사람. 또는 쓰고 있거나 쓸 사람."을 뜻하는데요.
제3자가 글을 쓴 사람을 이를 때 씁니다.
곧, 글쓴이가 자신을 이르는 낱말이 아니라는 거죠.
필자 소개, 필자가 밝혀지지 않을 글처럼 씁니다.

글쓴이가 자신을 이를 때는
그냥 '내가'나 '제가'를 쓰면 됩니다.

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쓰는 필자가 바빠서...
아니, 다시 할게요.
오늘은 제가 바빠서 우리말 편지를 하루 쉽니다. 이렇게 쓰면 됩니다.

이렇게 깨끗한 우리말을 쓰면 얼마나 쉽고 좋은지요.
필자를 써서 무언가 무게 있게 보이려는 것보다
있는 그대로 쉽고 짧게 쓰는 글이 훨씬 좋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필자'보다는 '글쓴이'가 훨씬 좋습니다.
오늘 편지는 '필자'는 제3자가 글쓴이를 이를 때 쓴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쓴 겁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필자'보다는 '글쓴이'가 훨씬 좋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몽골어'와 '몽골 어']
지난달 21일, 
보라색의 보라가 몽골어에서 왔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 편지를 읽으시고 dogani??님이
'몽골 어'처럼 띄어 써야 하지 않느냐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맞습니다.

'-어(語)'는 일부 이름씨(명사) 뒤에 붙어
'말'이나 '낱말'의 뜻을 더하는 뒷가지(접미사)입니다.
이 '어'는 뒷가지이긴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외래어 다음에서는 띄어 쓰거나 붙여 쓸 수 있습니다. 

한국어, 중국어,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처럼 붙여 쓰고,
그리스 어, 프랑스 어, 몽골 어처럼 띄어 쓸 수 있습니다.

어떤 때는 붙여 쓰고 어떤 때는 띄어 쓰는지 헷갈리시죠?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한자' 다음에 뒷가지 '-어'가 오면 붙여 쓰고,
'영어' 다음에 뒷가지 '-어'가 오면 띄어 쓰시면 됩니다.

따라서
한국어(韓國語), 중국어(中國語), 일본어(日本語), 독일어(獨逸語)는 붙이고,
'라틴 어(Latin語), 스웨덴 어(Sweden語), 프랑스 어(France語), 그리스 어(Greece語), 몽골 어(Mongol語)는 띄어 씁니다.

쉽죠?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75
1016 [2011/03/11] 우리말) 요와 오 moneybook 2011-03-11 3414
1015 [2009/07/13] 우리말) 여러 가지 비 id: moneyplan 2009-07-13 3414
1014 [2008/09/24] 우리말) 서두르다와 서둘다 id: moneyplan 2008-09-24 3414
1013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414
1012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413
1011 [2011/01/25] 우리말) 달인 moneybook 2011-01-25 3413
1010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413
1009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3412
1008 [2015/01/26] 우리말) 싣고 갈까, 타고 갈까 머니북 2015-01-26 3412
1007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12
1006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411
1005 [2016/08/04] 우리말) 헤어지다/해어지다 머니북 2016-08-10 3411
1004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411
1003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411
1002 [2008/11/28] 우리말) 발품과 손품 id: moneyplan 2008-12-01 3411
1001 [2008/09/26] 우리말) 개발새발과 괴발개발 id: moneyplan 2008-09-26 3411
1000 [2007/12/07] 우리말) 여투다와 모투다 id: moneyplan 2007-12-07 3411
999 [2015/10/20] 우리말) 희색만면하다 머니북 2015-10-20 3410
998 [2015/07/27]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머니북 2015-07-28 3410
997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