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11] 우리말) 압존법

조회 수 3340 추천 수 0 2013.06.11 08:53:47

직장에서는 압존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계장이나 과장이 모두 말하는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두 사람 모두를 높여야 합니다.
'과장님, 계장님께서 퇴근하셨습니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식약처 직원조회에 가서 '공무원과 우리말'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특강의 끝날 무렵 한 분이 압존법에 대해서 물으셨습니다.
처장님 앞에서 국장님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물으신 거죠.

오늘은 압존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말 예절에 '압존법'이 있습니다.
말의 주체가 말하는 사람보다는 높지만 듣는 사람보다는 낮아, 그 주체를 높이지 못하는 어법이 압존법입니다.
예를 들어,
내 부모를 조부모께 말할 때
"할아버지, 아버지가 진지 잡수시라고 하였습니다."처럼 
할아버지에 대해서는 '진지, 잡수시다'라고 높였지만,
부모에 대해서는 '하였습니다.'로 높이지 않는 것이 전통 언어 예절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전통도 바뀌어 부모보다 윗분에게도 부모를 높이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으므로 
현실을 인정하여 '할아버지, 아버지가 진지 잡수시라고 하셨습니다.'와 같이 
아버지를 할아버지에게 높여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압존법이 무너진 거죠. ^^*

그러나
직장에서는 압존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계장이나 과장이 모두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두 사람 모두를 높여야 합니다.
곧, 계장이 과장보다 직위가 낮더라도 말하는 나보다 직위가 높으면 
'과장님, 계장님께서 퇴근하셨습니다'로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듣는 과장님이나, 지칭하는 계장님이나 모두 저보다 높은 사람이므로 두 분 모두를 높여야 하는 거죠.

좀 헷갈리시나요?

그럼 이렇게 생각해보시죠.
나보다 직급이 높건 낮건, 듣는 사람이나 지칭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건,
모두 높이는 것으로...
그럼 실수할 일도 없으면서 늘 상대방을 존경할 수 있어서 좋지 않을까요?

오늘은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면서 지내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온 동료직원에게 오늘 저녁에 제가 저녁을 대접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공문서에 있는 잘못된 점을 꼬집는데요.
오늘도 그런 것을 하나 짚어야겠네요.

며칠 전에 받은 공문을 보니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되어 있네요.

'공문서'는
"공공 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작성한 서류"입니다.
마땅히 깨끗한 우리말을 써야 하고 공문을 받는 기관이나 사람에게 예의를 갖춰야 합니다.
관공서에서 보낸 문서라고 권위를 내세우면 안 됩니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관공서가 국민에게 권위를 내세웁니까?

엄수(嚴守)는
"명령이나 약속 따위를 어김없이 지킴"이라는 뜻이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꼭 지킴'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국가기관인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말을
같은 국가기관이 공문을 보내면서 쓰면 안 되죠.
그건 세금 낭비로 국민의 따끔한 꾸중을 들어도 쌉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아직 다듬지 않은 말도 앞장서서 다듬어 써야 할 곳이 바로 관공서입니다.
깨끗한 우리말로 글을 써야 하는 게 바로 공문서고요.
그래야 세금으로 월급 받는 사람이 제 할 일 다 하는 겁니다.
'엄수'라는 쓰레기 낱말을 쓰면서 권위를 앞세운 공문을 만들면 안 됩니다.

'oo까지 기일 엄수하여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는
'oo까지 꼭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나
'oo까지 날짜를 지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로 바꿔쓰시면 됩니다.

공무원이 똑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섭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1
1256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16
1255 [2011/08/18] 우리말) '열과'가 뭔지 아세요? 머니북 2011-08-18 3516
1254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516
1253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16
1252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16
1251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16
1250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17
1249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17
1248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517
1247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18
1246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18
124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518
1244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518
1243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518
1242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18
1241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19
1240 [2013/05/2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3-05-24 3519
1239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519
1238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20
1237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