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24] 우리말) 혼신

조회 수 3102 추천 수 0 2013.06.24 11:32:46

열심히 하는 것을 두고 흔히 '혼신을 쏟다'라고 합니다.
'
혼신의 힘을 쏟다' '혼신의 힘을 다하다'로 쓰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월요일입니다이번 주도 열심히 일해야 주말에 잘 놀 수 있겠죠?
이왕 하는 일이니 열심히 온 힘을 기울여서 잘하고 볼 일입니다. ^^*

열심히 하는 것을 두고 흔히 '혼신을 쏟다'라고 합니다.
혼신(渾身)이 온몸이라는 뜻이므로 온몸을 던져 열심히 한다는 뜻이겠죠.
비유적으로 보면 온몸을 던질 수 있겠지만온몸(혼신)을 쏟는 것은 좀 어색합니다.
'
혼신의 힘을 쏟다' '혼신의 힘을 다하다'로 쓰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주말에 잘 쉬셨으니,
월요일부터 온 힘을 쏟아 열심히 일합시다.
그리고 주말에 식구와 함께 즐겁게 놉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간인과 사잇도장]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다른 나라에 있습니다회사일로 잠시 나왔습니다.

과제 협약을 혼자 하느라 고생이 많으실 해진 씨!
가서 맛있는 점심 대접할게요. ^^*

해진 씨가 요즘 농촌진흥청 현장협력기술개발사업 과제를 협약하고 있습니다.
흔히 연구협약서를 받을 때는 협약서 앞장과 뒷장 사이에 도장이 찍혀 있는지를 꼭 확인하는데요.
그런 도장,
함께 묶인 서류의 종잇장 사이에 걸쳐서 찍는 도장을 간인(間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
사잇도장', '거멀도장', '걸침 도장', '이음 도장'으로 다듬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서류는 간인을 해야 한다가 아니라
중요한 서류는 사잇도장을 찍어야 한다고 해야 맞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국민이 낸 세금으로 이런 좋은 일도 많이 하고 계십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계인(契印) 
"
두 장의 문서에 걸쳐서 찍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 자를 새긴 도장."으로
이 역시 '거멀도장'으로 다듬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06
2556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236
2555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212
2554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97
2553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195
2552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73
2551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62
2550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60
2549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59
2548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34
2547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27
2546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122
2545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103
2544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100
2543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095
2542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95
25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90
2540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088
2539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87
2538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70
2537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