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7/11] 우리말) 속앓이

조회 수 3936 추천 수 0 2013.07.11 14:28:3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판에서 '속앓이'를 찾아보면 '속병'을 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속끓임'은 아예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속앓이와 속병은 그 뜻이 똑 같이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미국에서 우리나라 비행기 사고가 있었는데요.
뉴스를 보니
미국 측에서 조종사 실수로 몰아가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아직 블랙박스를 제대로 분석하지도 않았고, 이제 겨우 조종사와 관제사들 면담을 하고 있는 수준인데 어떻게 벌써 사고 원인이 분석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부러 조종사 실수로 몰아가는 게 아닌지 걱정됩니다.

비행기 사고로 돌아가신 분도 계시고 다치신 분도 계십니다.
그분들 가족이 받는 고통이 오죽 클까요.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승무원이나 기장 가족들의 속앓이도 이만저만한 게 아닐 겁니다.
아마 우리는 절대 상상하지 못할 큰 고통인지도 모릅니다.
결코 남 이야기를 함부로 할 일이 아닙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판에서 '속앓이'를 찾아보면 '속병'을 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속끓임'은 아예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속앓이와 속병은 그 뜻이 똑 같이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전에서 '속병'을 찾아보면,
1. 몸속의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위장병'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3. 화가 나거나 속이 상하여 생긴 마음의 심한 아픔
이라고 나옵니다.
1, 2번은 말 그대로 병입니다. 3번 풀이와는 좀 다르죠.
3번 풀이가 '속앓이'와 비슷할 겁니다.

제 생각에는
'속앓이'를 사전에 올려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우리말이 더 풍성해진다고 생각합니다.
'속끓임'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전에 올려야 합니다.

이번 비행기 사고로 속끓임을 하고 속앓이를 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특히 기장 가족이 그러겠죠.
아무쪼록 잘 풀리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우리말에 '끌탕'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속을 태우는 걱정"이라는 뜻으로
이번 비행기 사고로 끌탕 중인 사람이 많다처럼 씁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손수 만든 꽃]

안녕하세요.

오늘이 스승의 날입니다.
벌써 15년쯤 전이지만, 한때는 저도 학생들이 손수 만든 선물도 받았었는데...^^*

오늘은 '손수'를 알아볼게요.
'손수'는
"남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고 제 손으로 직접."이라는 뜻의 어찌씨(부사) 입니다.
아버지는 손수 밥을 지어 아이들을 먹였다, 선생님께서 손수 가꾸신 텃밭처럼 씁니다.

이처럼 '손수'는
누군가 직접 손으로 뭔가를 했을 때 존대하면서 말하는 것입니다.
곧, 자기가 한 일에는 '손수'를 쓰지 않습니다.
자기가 말하면서 자기를 높이면 안 되잖아요.
따라서, 제가 손수 운전해서 왔습니다, 제가 손수 만든 꽃입니다처럼 쓰면 안 됩니다.

스승의 날 정성을 담은 선물을 선생님께 드리는 것은 좋은 풍습입니다.
혹시 멀리 계셔서 뵐 수 없다면 누리편지(이메일)라도 드려보세요.
선생님이 손수 답장을 보내주실 겁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51
1916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79
1915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878
1914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878
1913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878
1912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875
1911 [2007/03/31] 우리말) 편지 몇 통 id: moneyplan 2007-04-02 3875
1910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73
1909 [2015/12/03] 우리말) 지레/지례 머니북 2015-12-07 3870
1908 [2012/06/04] 우리말) 선글라스 머니북 2012-06-04 3867
1907 [2011/04/15]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moneybook 2011-04-15 3867
1906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66
1905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66
1904 [2011/04/18] 우리말) 내 남편과 우리 남편 moneybook 2011-04-18 3865
1903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63
1902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62
1901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61
1900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59
1899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58
1898 [2009/11/30]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11-30 3856
1897 [2008/10/12] 우리말) 기다와 아니다 id: moneyplan 2008-10-13 3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