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7/17] 우리말) 사날

조회 수 3363 추천 수 0 2013.07.17 08:52:00

사흘이나 나흘을 뜻하는 낱말이 '사날'입니다.
사흘+나흘에서 겹치는 흘자를 한 번만 써서 '사나흘'이고 
이를 줄여 '사날'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요일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저는 월요일 아침에 수원에서 세종시로 오는데요.
가끔은 일요일에 올 때가 있습니다.
회사에 일이 있다거나, 다른 데 들렀다 회사에 올 때가 그렇습니다.
이번 주에도 일요일 오후에 세종시로 왔습니다.
애들과 떨어져 사날 정도 지나면 애들이 눈에 선 한데,
오늘 유난히 애들이 보고 싶네요.
이번 주에는 금요일에 연가라도 내고 내일쯤 수원에 가야할까 봅니다. ^^*

우리말에
사흘이나 나흘을 뜻하는 낱말이 '사날'입니다.
사흘+나흘에서 겹치는 흘자를 한 번만 써서 '사나흘'이고 
이를 줄여 '사날'이라고 합니다.
나흘이나 닷새는 '나달'이라고 합니다.
'나닷'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지만, 소리내기 쉽게 '나달'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애들을 본 게 3~4일 전이다'고 해도 되고,
'애들을 본 게 사날 전이다.'고 써도 됩니다.

이번 주도 반이 지납니다.
하루 이틀만 더 일하면 쉴 수 있다는 희망을 안고 오늘도 열심히 일합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천벌받을...]

오늘 아침 뉴스도 가슴 아픈 소식이 있네요.
또 어린이를 납치했다가 붙잡혔군요.

도대체 왜 죄 없는 어린이를 납치하는 겁니까?
납치당한 충격을 애들은 평생 씻지 못하고 살텐데...
아무리 돈이 궁하기로서니 애들을 납치하여 흥정을 한다는 것은 너무 가혹합니다.

가끔 드리는 말씀이지만,
어린이 납치, 성폭행, 먹는 것으로 장난치는 놈들은 큰 벌을 내려야 합니다.

오늘은 그런 벌 이야깁니다.
'버력(을) 입다'는 말이 있습니다.
'저 버력을 입을 놈'처럼 쓰죠.

'버력'은
"하늘이나 신령이 사람의 죄악을 징계하려고 내린다는 벌."을 말합니다.
따라서
'저 버력을 입을 놈'하면,
'저 천벌을 받을 놈' 정도 되겠죠.

제발 다시는 어린이 납치라는 뉴스가 나오지 않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8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429
936 [2010/02/09] 우리말) 방송국이 아니라 방송사 id: moneyplan 2010-02-09 3190
935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734
934 [2010/02/05] 우리말) 불뚝성 id: moneyplan 2010-02-05 3278
933 [2010/02/04] 우리말) 눈이 내렸네요 id: moneyplan 2010-02-04 3087
932 [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03 3138
931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2998
930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3240
929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3108
928 [2010/01/28]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id: moneyplan 2010-01-28 3092
927 [2010/01/27] 우리말) 속병 홧병 위장병 id: moneyplan 2010-01-27 3081
926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3518
925 [2010/01/25] 우리말) 문제 답은... id: moneyplan 2010-01-25 3309
924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912
923 [2010/01/21]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id: moneyplan 2010-01-21 3042
922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390
921 [2010/01/19] 우리말) 거덜나다 id: moneyplan 2010-01-19 3087
920 [2010/01/18] 우리말) 우리는 내일이 없는 민족? id: moneyplan 2010-01-18 4147
919 [2010/01/15] 우리말) 구형과 선고 id: moneyplan 2010-01-15 3148
918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319
917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