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12] 우리말) 초다짐과 입맷상

조회 수 3730 추천 수 0 2013.08.12 17:46:38

스끼다시(つきだし)는 일본말입니다.
'
초다짐' "정식으로 식사하기 전에 요기나 입가심으로 음식을 조금 먹음또는 그 음식."을 뜻하고,
'
입맷상' "잔치 같은 때에 큰상을 차리기 전에 먼저 간단하게 차려 대접하는 음식상."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점심 맛있게 드셨나요?
오늘부터 수요일까지는 전력이 부족할 거라면서 냉방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동안은 몇 시간이라도 해 줬는데...

오늘이 복날이라네요.
그래서 밖에 나가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삼계탕을 먹었는데삼계탕이 나오기 전에 여러 가지 '스끼다시'가 먼저 나오더군요.

스끼다시(つきだし)는 일본말입니다.
횟집에서 회가 나오기에 앞서 내놓은 가벼운 안주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를 우리말로 쓰면 뭐가 좋을까요?
어떤 분은 '곁들이찬'을 추천하셨는데요.
그렇게 일부러 만들지 않아도 '초다짐' '입맷상'이라는 좋은 우리말이 있습니다.
'
초다짐' "정식으로 식사하기 전에 요기나 입가심으로 음식을 조금 먹음또는 그 음식."을 뜻하고,
'
입맷상' "잔치 같은 때에 큰상을 차리기 전에 먼저 간단하게 차려 대접하는 음식상."을 뜻합니다.

이렇게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 스끼다시를 쓸 까닭은 없겠죠?

우리말에 '훈감하다'는 낱말도 있습니다
"
맛이 진하고 냄새가 좋다.", "푸짐하고 호화롭다."는 뜻입니다.
잊어버리지 않도록 자주 살려 쓸 낱말입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한메일에 편지가 들어가지 않는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지금 한메일에서 편지를 받으시는 분들은 앞으로도 받으실 수 있나 봅니다.
'
있나 봅니다.'...
정확히는 잘 모릅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꽃 이름]

주말에 잘 쉬셨나요?
저는 식구와 함께 과천에 있는 식물원에 다녀왔습니다.
아내가 들꽃을 좋아하거든요. ^^*

오늘은 꽃 이야기 좀 해 볼게요.
꽃 이름에는 나름대로 까닭이 있습니다.
꽃 이름 앞에 붙은 낱말을 보면 그 뜻을 대충 알 수 있습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거의 다 그렇습니다.

먼저,
'
'이 들어가면 해안이나 갯벌냇가 등지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갯메꽃갯질경이 따위죠.
'
'이 들어가면 골짜기에서 사는 식물입니다골등골나물골사초 따위죠.
'
'은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로 산구절초산부추산수국산골무꽃 따위입니다.
'
구름'이 들어가도 높은 산에 있거나 꽃이나 잎이 구름처럼 뭉쳐 피는 것입니다구름국화구름떡쑥구름송이풀구름체꽃구름패랭이구름사초 따위죠.
'
두메'가 들어가도 높은 산에서 사는 식물입니다두메양귀비두메투구꽃두메부추두메잔대 따위죠.
'
'이 들어가면 마땅히 확 트인 벌판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벌개미취벌노랑이벌깨풀 따위죠.
'
'이 들어가면 물가에 자라는 식물입니다물매화물봉선물머위물미나리아재비 따위죠.
'
'이 들어가면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돌단풍돌바늘꽃돌양지꽃돌나물 따위죠.
'
바위'가 들어가면 마땅히 바위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바위솔바위떡풀바위구절초 따위죠.
'
'은 육지가 아닌 섬에서만 자라는 식물로섬초롱꽃섬백리향섬쑥부장이섬천남성섬기린초섬말나리 따위가 있습니다.
'
'이 들어가면 진짜나 먹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참나리참바위취참좁쌀풀참개별꽃 따위죠.
'
' ''의 반대로 먹을 수 없거나 못생긴 경우에 씁니다개구릿대개쑥부장이개망초개여뀌개연꽃 따윕니다.
'
나도' '너도'는 다른 식물이지만 생긴 모양이 비슷한 경우에 붙입니다나도바람꽃나도송이풀나도양지꽃,나도옥잠화너도바람꽃너도골무꽃 따윕니다.
'
가는'이 들어가면 잎이 가늘 다는 뜻으로가는잎구절초가는잎돌쩌귀가는장구채가는층층잔대 따윕니다.
'
가시'가 들어가면 마땅히 그 식물에 가시가 있겠죠가시여뀌가시연꽃가시엉겅퀴가시오갈피 따윕니다.
'
갈퀴'가 들어가면 갈퀴가 있습니다갈퀴나물갈퀴덩굴 따윕니다.
'
끈끈이'가 들어가면 꽃이나 잎에 끈끈한 액이 있습니다끈끈이대나물끈끈이주걱끈끈이장구채 따위죠.
'
우산'이 들어가면 잎이나 꽃이 우산 모양이죠우산나물우산잔대우산방동사니 따윕니다.
'
'이 들어가면 꽃이나 잎에 털이 있습니다털동자꽃털머위털여뀌털중나리 따위죠.
'
'이 들어가면 잎이나 줄기에 톱모양이 있는 식물입니다톱잔대톱풀톱분취톱바위취 따윕니다.
'
각시'나 땅애기병아리가 들어가면 식물의 크기가 작습니다
각시붓꽃각시원추리각시취각시둥글레땅나리땅비싸리땅채송화애기나라애기현호색애기괭이눈애기원추리왜개연꽃왜솜다리왜현호색왜제비꽃왜당귀좀고추나물좀꿩의다리좀붓꽃좀가지풀병아리풀병아리난초병아리다리 따윕니다.
그러나 '', 말 따위가 붙으면 잎이나 꽃이 큽니다.
큰구슬봉이큰까치수영큰꽃으아리왕고들빼기왕제비꽃왕원추리왕별꽃왕갈대참꿩의다리참좁쌀풀,참나리참당귀말나리말냉이말냉이장구채 따윕니다.

마땅하지만,
이런 거라도 알고 꽃을 보면 더 재밌지 않을까요?

아 참,
제가 이 꽃을 다 아느냐고요?
설마 제가 이 꽃을 다 알거라고 생각하고 물어보신 것은 아니죠? ^^*

우리말123

보태기)
'
들꽃' '야생화'라고 하는데,
야생화(野生花)보다는 들꽃이 좋지 않나요?

야생초(野生草)도 마찬가집니다.
저는 '야생초'보다 '들풀'이 더 좋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1
» [2013/08/12] 우리말) 초다짐과 입맷상 머니북 2013-08-12 3730
935 [2016/07/11] 우리말) 겨땀 -> 곁땀 머니북 2016-07-11 3732
934 [2007/04/26] 우리말) 싱싱하다 id: moneyplan 2007-04-26 3733
933 [2014/06/12] 우리말) 빠개다와 뽀개다 머니북 2014-06-12 3733
932 [2017/09/01] 우리말)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머니북 2017-09-07 3733
931 [2007/11/30] 우리말) 반거들충이 id: moneyplan 2007-11-30 3735
930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735
929 [2015/07/22] 우리말) 치덕치덕 머니북 2015-07-22 3735
928 [2014/01/27] 우리말) 엔간하다와 웬만하다 머니북 2014-01-28 3736
927 [2009/02/02] 우리말) 개차반 id: moneyplan 2009-02-02 3737
926 [2011/12/20] 우리말) 육감 머니북 2011-12-21 3737
925 [2017/05/11] 우리말) 협치 머니북 2017-05-11 3737
924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739
923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739
922 [2012/09/05] 우리말) 돈 이야기 머니북 2012-09-05 3739
921 [2008/09/02] 우리말) 햇빛과 햇볕 id: moneyplan 2008-09-02 3740
920 [2008/09/25] 우리말) 비비대다와 뱌비대다 id: moneyplan 2008-09-25 3740
919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40
918 [2012/12/31] 우리말) 운김 머니북 2013-01-02 3740
917 [2008/08/25]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id: moneyplan 2008-08-25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