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조회 수 3494 추천 수 0 2013.09.02 14:57:31

어찌씨(부사)는 소리가 비슷해 헷갈릴 때가 자주 있습니다.
'
고실고실' "털 따위가 기름기가 거의 없이 무질서하고 꽤 잘게 고부라져 있는 모양."인데,
"
밥 따위가 되지도 질지도 아니하고 알맞은 모양" '고슬고슬'과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기분 좋은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에 차를 쓸 일이 있어서 어제 오후에 차를 가지고 세종시로 왔습니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가족과 떨어져 있으면 작은 것에서도 가정의 고마움을 느낄 때가 잦습니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 씻고 수건으로 머리를 말리는 데 눅눅한 수건을 보고도 집이 생각났습니다.
집에서는 늘 가슬가슬한 수건을 썼는데이곳에서 혼자 살다 보니 그렇지가 못합니다.
수건 하나에서도 집이 떠오르고우리말 편지 찬거리가 생각나네요. ^^*

어찌씨(부사)는 소리가 비슷해 헷갈릴 때가 자주 있습니다.
'
고실고실' "털 따위가 기름기가 거의 없이 무질서하고 꽤 잘게 고부라져 있는 모양."인데,
"
밥 따위가 되지도 질지도 아니하고 알맞은 모양" '고슬고슬'과 헷갈립니다.
거기에 '가슬가슬'도 있습니다.
"
살결이나 물건의 거죽이 매끄럽지 않고 가칠하거나 빳빳한 모양."이라는 뜻으로
제가 아침에 쓴 수건은 가슬가슬하지 않았습니다집에서는 늘 가슬가슬한 수건을 썼는데... ^^*

오늘 점심때
고슬고슬한 밥을 먹고,
저녁에 운동한 뒤 가슬가슬한 수건으로 몸을 닦으면 기분이 참 좋겠죠? ^^*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좋은 일이 많아서 웃는 게 아니라,
웃으면 좋은 일이 자주 생긴다고 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코사지꽃사지코르사주가슴꽃]

다음 주 수요일(11)에 농촌진흥청에서 큰 보고회가 있습니다.
지난해 농촌진흥청이 한 일을 국민에게 보고하는 자리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오실 수 있습니다.
작년처럼 큰 잔치가 아니라 한나절만 보고회를 합니다.
수원에 오시기 쉬운 분들은 그날 오세요.

흔히 큰 행사를 치를 때 보면(치룰 때가 아닙니다.)
높으신 분 가슴에 꽃을 달아드립니다.
그 꽃을 뭐라고 하죠?

코사지꽃사지?

그건 프랑스말인 Corsage입니다.
여자의 상반신이나 옷에 다는 작은 꽃묶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프랑스 발음은 아마도 [꼬르사주]겠지만,
우리말로는표준말로는 '코르사주'가 맞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사람들이 프랑스어 발음을 더 익숙하게 알고 있다면 프랑스어 발음을 표준발음으로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영어식 발음을 표준어로 봅니다.
그래서 Corsage의 표준말이 '코르사주'입니다.

그 뜻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
장신구의 하나여성들의 옷깃가슴허리 등에 다는 꽃묶음을 이른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영어사전을 봐도
'
여성이 가슴·어깨에 다는 작은 꽃장식'으로 나와 있습니다.
남자들은 이 꽃을 달 수 없나 봅니다. ^^*

우리말123

보태기)
코르사주를 흉화라고도 하는데,
가슴 흉(자와 꽃 화(자를 쓰는 '흉화'라는 낱말은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저라면
코르사주나 흉화보다는 '가슴꽃'을 쓰겠습니다.
이 낱말도 아직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없긴 하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7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27
1436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498
1435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498
1434 [2013/09/04]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머니북 2013-09-04 3498
1433 seernews 운영자의 링크(link)가 있는 이야기 id: moneyplan 2008-11-11 3499
1432 [2010/10/01] 우리말) 빼닮다와 빼쏘다 moneybook 2010-10-01 3499
1431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01
1430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01
1429 [2015/11/16] 우리말) 은근과 은근히 머니북 2015-11-16 3501
1428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502
1427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503
1426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04
1425 [2008/05/30] 우리말) 무색 치마 id: moneyplan 2008-06-03 3504
1424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04
1423 [2007/11/15] 우리말) 비리와 비위 id: moneyplan 2007-11-15 3505
1422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505
1421 [2008/05/02] 우리말) 몰강스럽다 id: moneyplan 2008-05-02 3507
1420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507
1419 [2012/10/10] 우리말) '한글의 날'과 '한글날' 머니북 2012-10-10 3507
1418 [2007/09/03] 우리말) 선글라스 맨 id: moneyplan 2007-09-03 3508
1417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