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조회 수 3520 추천 수 0 2013.09.23 12:38:36

우리말에
"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는 뜻을 지난 움직씨(동사) '설레다'입니다.
그리고 이를 이름씨꼴로 만들면(명사화하면) '설렘'입니다.
그러나 많은 곳에서 '설렘' '설레임'이라고 잘못 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가위 잘 보내셨나요?
저는 어머니가 수원으로 오셔서 고향에 가지 않았습니다.
꽉 막힌 고속도로 위에서 시간을 보내지 않아서 좋긴 한데,
고향을 찾는 맛은 좀 떨어집니다. ^^*

뉴스를 들으니
내일 만나기로 했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미뤄졌다고 하네요.
많은 분이 설레는 마음으로 손꼽아 기다리셨을 텐데... 안타깝습니다.
정치적으로야 무슨 까닭이 있는지 모르지만,
나이 드신 분들 만나는 문제는 정치와는 엮이지 않고 잘 풀리면 좋겠습니다.

우리말에
"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는 뜻을 지난 움직씨(동사) '설레다'입니다.
그리고 이를 이름씨꼴로 만들면(명사화하면) '설렘'입니다.
그러나 많은 곳에서 '설렘' '설레임'이라고 잘못 쓰고 있습니다.
두근거리는 마음을 뜻하는 낱말이 '설레이다'라면 '설레임'이 맞겠지만,
'
설레다'의 명사형은 '설렘'이 바릅니다.

저도 이번 주까지만 이곳에서 일하면 다음 주부터는 수원에 있는 농촌진흥청으로 돌아갑니다.
편지를 쓰는 지금도 설렙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파래/퍼레파랑색/파란색]

어제 책을 걸고 문제를 냈었는데
많은 분이 좋아하시네요.
앞으로도 가끔 이런 기회를 만들겠습니다.

어제도 말씀드렸듯이,
들판을 보면 벌써 푸른 기운이 돌죠?
커다란 자연 앞에 혼자 서 있는 제 모습이 그려지고,
이런 것을 생각하면 자연 앞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파란 들판......
들판 색이 '파란색'일까요, '파랑색'이까요?
파래진 들판과 퍼레진 들판에서
'
퍼레진'이 맞을까요, '퍼래진'이 맞을까요?

먼저,
파란색과 파랑색은 
파란색이 맞습니다.
'
파랑'이 색을 표현하는 낱말인데 여기에 또 '-'을 붙이면 안 됩니다.
파란색빨간색노란색이 맞습니다.

우리 국어 맞춤법에 모음조화원칙이라는 게 있습니다.
'
모음조화'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을 말합니다
'
따위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
따위의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이죠.
깎아숨어알록달록얼룩덜룩글썽글썽졸졸줄줄 따위가 그런 보기입니다.

이에 따라,
파랗다에서 온 파래지다를 '퍼레지다'로 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노래/누레까매/꺼메빨개/뻘게로 쓰셔야 합니다.
노래진 호박이나 누레진 호박이라고 써야 하는 거죠.

별로 맘에는 안 들지만,
맞춤법 규정이 그렇습니다.
조화를 이루고자 만든 맞춤법이라는 데 영 맘에 안 듭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9
1376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44
1375 [2014/04/02] 우리말) 다좆치다 머니북 2014-04-02 3544
1374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45
1373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46
1372 [2010/09/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9-15 3547
1371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48
1370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48
1369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49
1368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549
1367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549
1366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50
1365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50
1364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550
1363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550
1362 [2012/01/18] 우리말) 설빔과 세뱃돈 머니북 2012-01-18 3551
1361 [2012/09/03] 우리말) 악매 머니북 2012-09-03 3551
1360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51
1359 [2007/12/13] 우리말) 신 김치와 쉰 김치 id: moneyplan 2007-12-13 3552
1358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552
1357 [2010/03/3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10-03-31 3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