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조회 수 6236 추천 수 0 2013.09.25 00:19:47

압화는
꽃이나 나뭇잎에서 수분을 빼고자누르면서 말려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것을 뜻합니다.
많은 분이 '압화'라고 하지만이는 '누름꽃'이라고 우리말로 쓰는 게 더 좋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압화나 누름꽃 모두 오르지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1.
편지를 쓰고 있는데 방송이 나왔습니다.
어디에서 압화 전시회를 하니 가서 보라고...

압화는
꽃이나 나뭇잎에서 수분을 빼고자누르면서 말려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것을 뜻합니다.
많은 분이 '압화'라고 하지만이는 '누름꽃'이라고 우리말로 쓰는 게 더 좋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압화나 누름꽃 모두 오르지 못했습니다.

압화... 누름꽃...
누름꽃이 훨씬 좋지 않나요저만 그렇게 느끼나요? ^^*

2. 
어제 편지를 보시고 황성하 님이 보내주신 댓글입니다.


문득, '설레임'이라는 말을 듣고 보니, '설렘' '설레임'을 미묘한 감정차이가 나는 것으로 동시에 인정할 수는 없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 봅니다.
이를테면, '냄새' '내음'이 동시에 인정을 받았듯이 말이지요

우리말이라는 것이일정한 테두리 내에서 유연성과 사고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말을 탄생시킨다면언어의 창조성과도 관련이 있을 텐데요.

설레임이라는 말은분명  설렘과는 말맛이 다른 것 같기도 합니다.  한번도 그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는데오늘따라 그런 생각이 듭니다.


고맙습니다.
이렇게 좋은 뜻을 보내주시면 허락을 받고 여러 사람이 같이 읽겠습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상품도 있습니다]

오늘도 날씨가 무척 좋겠죠?
이런 날은 가끔 뭉게구름 흘러가는 파란 하늘도 쳐다보고,
틈틈이 짬을 내 발 밑에 밟히는 파란 잔디도 쳐다보면서 마음의 여유를 찾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아요?

,
여기까지 쓰고,
앞에 제가 쓴 글에서 잘못된 곳이 있습니다.
그 잘못된 곳을 찾아서 가장 먼저 댓글(우리말편지 아래에 있는 의견/소감 보내기)을 주시는 분께
제가 쓴 '성제훈의 우리말편지책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을 아시면 지금 바로 답장을 보내주세요. ^^*

우리말123

오늘 답은 '땅을 쳐다보다'입니다.

'
쳐다보다' "얼굴을 들고 올려다보다"는 뜻입니다.
올려다보는 겁니다.
얼굴을 들고 하늘을 '쳐다본다'고 하거나
고개를 숙이고 땅을 '내려다본다'고 해야 맞습니다.

따라서,
발 밑에 밟히는 파란 잔디도 쳐다보면서 마음의 여유를...이 아니라,
발 밑에 밟히는 파란 잔디도 내려다보면서 마음의 여유를...이 맞습니다.

약속대로 '성제훈의 우리말편지'책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65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2178
136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5885
135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5887
134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5896
133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5898
132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5908
131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5912
130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5931
129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5935
128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5947
127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5975
126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5979
125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5984
124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5996
123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007
122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024
12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031
120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044
119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071
118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237
»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