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0/14] 우리말) 얻다 대고...

조회 수 4315 추천 수 0 2013.10.14 08:51:22

표준국어대사전에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로 '얻다'가 올라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디에다 대고'를 '얻다 대고'라고 줄여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리나는 대로 '어따 대고'라고 쓰면 틀립니다. '얻다 대고'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새롭게 떠나는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면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뉴스를 들으니 오늘부터 국정감사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남들은 잘 모르겠으나, 저는 국정감사하면 먼저 떠오르는 게 호통치는 겁니다.
국정감사는 행정부가 하는 일을 입법부가 감사하는 일일 텐데 저는 왜 '호통'을 먼저 떠올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상한 거겠죠? ^^*

또 하나,
국감 때 가끔 들을 수 있는 말이 [어따 대고...]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로 '얻다'가 올라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디에다 대고'를 '얻다 대고'라고 줄여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리나는 대로 '어따 대고'라고 쓰면 틀립니다. '얻다 대고'가 바릅니다.
또, '얻다 대고'는 한 낱말이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그런 말을 듣지 않기를 조심스럽게 빌어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껄쩍지근한 CNN]

어제 오후에 편지를 하나 받았는데 내용이,
"지금 미국 CNN에서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사과해야 하느냐 마느냐를 가지고 설문조사 중입니다.
현재 설문 결과가 하지 않아도 된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부디 접속하시어 설문에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군요.

바로 들어가서 확인해 보니,
사과하지 않아도 된다가 79%였습니다.
지금 다시 들어가서 보니 75%네요.

우리말에 '꺼림하다'는 게 있습니다.
"마음에 걸려 언짢은 느낌이 있다."는 뜻이죠.
그 언짢음이 더 큰, 곧, 매우 꺼림한 것이 '꺼림칙하다'입니다.
같은 뜻으로 '께름칙하다'와 '꺼림텁텁하다'도 있습니다.

저는 CNN의 설문조사가 영 꺼림칙합니다.
비록 그 설문조사가 과학적인 게 아니고 투표한 사람만의 의견이고 일반적인 누리꾼의 뜻이라고 볼 수 없다는 꼬리를 달기는 했지만,
그것도 기분이 나쁩니다.
그렇다면 그 설문조사를 왜 했죠?

일본 언론에서는
"CNN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누리꾼의 75%가 사과를 반대한다."라는 기사를 뽑을 수 있잖아요.
아니 그렇게 기사를 만들어서 쓸거잖아요.

세계의 언론이라는 CNN이 왜 이런 짓을 하냐고요.
CNN의 방문자 수를 많게 만들려고 그런 짓을 했겠지만 언론의 영향력을 잊은 경솔한 짓입니다. 
이건 뭔가 야로가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설문이 저는 껄쩍지근합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야로'는 "남에게 드러내지 아니하고 우물쭈물하는 속셈이나 수작을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2. 껄쩍지근하다는 '꺼림칙하다'의 전남 사투리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15
2276 [2012/07/23] 우리말)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머니북 2012-07-23 4404
2275 [2014/08/25] 우리말) '가지다'와 '지니다'의 차이 머니북 2014-08-26 4403
2274 [2007/07/13] 우리말) 짧은 편지 id: moneyplan 2007-07-13 4401
2273 [2011/10/07] 우리말) 손자 더하기 손녀는 손주 머니북 2011-10-07 4398
2272 [2010/11/18] 우리말) 마루 moneybook 2010-11-18 4397
2271 [2007/03/02] 우리말) 딴죽 id: moneyplan 2007-03-05 4391
2270 [2006/11/28] 우리말) 민생을 잘 추슬러야... id: moneyplan 2006-11-28 4388
2269 '음수대'보다는 '물 마시는 곳'이... file 머니북 2013-07-29 4387
2268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4387
2267 [2016/03/28] 우리말) 솔개그늘 머니북 2016-03-29 4385
2266 [2007/05/14] 우리말) '생채기'는... id: moneyplan 2007-05-14 4385
2265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4382
2264 [2011/11/01]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머니북 2011-11-01 4381
2263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77
2262 [2014/01/03] 우리말) 의외로... 머니북 2014-01-03 4376
2261 [2007/01/10] 우리말) 집가심 id: moneyplan 2007-01-12 4376
2260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4374
2259 [2013/11/01] 우리말) 꽃잠과 말머리아이 머니북 2013-11-01 4372
2258 [2012/11/22] 우리말) 애꿎다/애먼 머니북 2012-11-22 4369
2257 [2008/09/17] 우리말) 데코레이션과 장식 id: moneyplan 2008-09-17 4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