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0/15] 우리말) 여태껏

조회 수 3488 추천 수 0 2013.10.15 08:23:45

'여태'를 강조한 말이 '여태껏'입니다. 
'여지껏'이라는 말은 '여태껏'의 잘못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국감에서도 호통이 나왔나요?
저는 보지 못했지만, 아마도 나왔을 겁니다.
이렇게 많은 잘못이 있는데 그동안 뭘 하다 이제야 한꺼번에 봇물 터진듯 호통을 치시나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또는 아직까지,
어떤 행동이나 일이 이미 이루어졌어야 함에도 그렇게 되지 않았음을 불만스럽게 여기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어 옴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
'여태'입니다.
그는 여태 무얼 하고 안 오는 것일까?, 여태 그것밖에 못 했니?, 해가 중천에 떴는데 여태까지 자고 있으면 어쩌겠다는 것이냐?처럼 씁니다.

이를 강조한 말이 '여태껏'입니다. 
'여지껏'이라는 말은 '여태껏'의 잘못입니다.

국감 때마다 나오는 말이 상시국감입니다. 늘, 수시로, 일이 있을 때마다 국감을 하겠다는 것인데,
말만 나오고 제대로 된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국감 때만 큰소리치시려고 '여태껏' 참으셨나 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꽃샘 추위가 물러갈 거라네요]

안녕하세요.
출근길에 눈을 보니 기분이 참 좋네요.
이제 곧 날씨가 풀릴 거라죠?

저는 꽃샘추위는 싫지만,
'꽃샘추위'라는 낱말은 참 좋습니다.
시샘이 아닌 꽃샘이잖아요.
봄에 밀려났던 추위가 돌아서서 보니 화창한 봄이 왠지 좀 싫었겠죠.
그래서 몰고 온 한바탕 추위를 우리 선조는 '꽃샘추위'라고 했습니다.
봄을 시샘해서 오는 추위지만 그것을 시샘추위라고 하지 않고 꽃샘추위라고 한 선조가 고맙습니다.

일기예보를 들으니,
"꽃샘추위가 물러갈 예정입니다"이라고 하네요.

여기에는 '예정'이 들어가면 안 됩니다.
'예정'은
도착할 예정, 떠날 예정, 일이 예정대로 진행되다처럼 씁니다.
곧, 주체가 사람이거나 사람의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꽃샘추위는 사람이 아니고 사람의 뜻대로 다룰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꽃샘추위가 물러갈 예정입니다"가 아니라,
"꽃샘추위가 물러갈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해야 합니다.

내친김에
'추위가 누그러져, 추위가 풀려'도 좋은 표현입니다.

추위는 싫지만 꽃샘추위라는 낱말은 좋았는데,
그게 물러간다니 조금은 서운하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28
1456 [2016/06/14] 우리말) 몹쓸 머니북 2016-06-15 3529
1455 [2015/03/30] 우리말) 환절기와 간절기 머니북 2015-03-30 3528
1454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28
1453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27
1452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527
1451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525
1450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25
1449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525
1448 [2012/09/03] 우리말) 악매 머니북 2012-09-03 3524
1447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24
1446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523
1445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523
1444 [2016/03/02] 우리말) 삼일절 머니북 2016-03-09 3522
1443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522
1442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521
1441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521
1440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21
1439 [2016/02/24] 우리말) 우황청심환 머니북 2016-02-25 3520
1438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520
1437 [2013/05/2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3-05-24 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