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조회 수 3576 추천 수 0 2013.11.04 08:30:22

이제는 '촌스럽다'는 낱말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꾸리려는 마음가짐"이라는 뜻풀이도 더 넣어주실 때가 되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일터에 나오다 보니 안개가 짙게 끼어 있네요. 오늘은 날씨가 무척 좋을 것 같습니다.

1. 지난주에 내드린 문제를 맞히신 분 가운데 몇 분을 골라 선물을 보내드릴 겁니다.
실은 제가 일터에서 포털 메일을 볼 수 없습니다. 집에서 틈을 내 주소를 정리하다보니 좀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2. 오늘 아침 06:46에 MBC뉴스에서 '난임'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불임'이 아닌 '난임'이라고 썼습니다.
불치병은 제아무리 용을 써도 고칠 수 없는 병이고,
난치병은 어렵긴 하지만 고칠 수는 있는 병입니다.
불임과 난임도 
불임은 아무리 애를 써도 애를 밸 수 없는 것이고,
난임은 어렵지만 애를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불임치료를 해서 애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은 말이 안 되죠.
마땅히 난임치료라고 해야 바를 겁니다.

'난임'은 많은 분이 힘써서 지금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그렇게 표준국어대사전에 또 올려야 할 낱말이 바로 '촌스럽다'입니다.
'촌스럽다'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라고 풀어놨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지구촌, 먹거리촌이란 말을 만들어 쓰고 더 나가서는 오토캠핑촌이라는 낱말도 만들어 씁니다.
'촌스럽다'가 덜떨어졌다는 뜻만 있다면 그런 낱말을 만들어 쓰지 않을 겁니다.
거기다 작년에는 귀촌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었다고도 합니다.
'촌스럽다'가 세련됨이 없다는 뜻만 있다면 귀촌이 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요?

이제는 '촌스럽다'는 낱말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꾸리려는 마음가짐"이라는 뜻풀이도 더 넣어주실 때가 되지 않았을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동남풍과 남동풍]

오늘도 방향 이야기를 좀 해 볼게요.

며칠 전에 
동서남북이 새한마높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동풍은 샛바람이고,
남풍은 마파람,
서풍은 하늬바람이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동쪽과 남쪽의 사이를 가리키는 말을 알아볼게요.
그걸 남동쪽이라고 할까요, 동남쪽이라고 할까요?
그쪽에서 부는 바람이 동남풍일까요, 남동풍일까요?
학교에서는 남동쪽이라고 배운 것 같은데......


삼국지에서 제갈량이 '동남풍'이 부라고 기도했을까요, '남동풍'이 부라고 기도했을까요?
중국놈들이 깝죽대는 것을 '동북공정'이라고 하지 '북동공정'이라고는 안 하는 것 같고,
베트남과 필리핀을 '동남아시아'라고 하지 '남동아시아'라고는 안 하는 것 같은데...

잠시 접어 두고,
'독도는 우리 땅' 노랫말에 보면,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200리...'라고 나옵니다.
여기서는 남동쪽이 아니라 동남쪽입니다.

이쯤 되면 헷갈리시죠?
두 방향의 사이를 말할 때 동서를 먼저 쓸까요, 남북을 먼저 쓸까요?


서양에서는 '남북'을 먼저 씁니다.
Northwest 항공이잖아요.
그러나 동양에서는 '동서'를 먼저 씁니다.
그래서 우리는 울릉도 동남쪽에 독도가 있다고 말하고,
동남아시아라고 말합니다.
중국도 동북공정이라고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배우는 과학기술은 서양에서 들어온 게 많아서,
과학기술용어는 남북을 먼저 쓰는 게 많습니다.
그래서 지구과학이나 기상학에서는 남북을 먼저 씁니다.

재밌는 것은,
국어사전에는 동남풍과 남동풍, 북서풍과 서북풍이 다 들어있습니다.
기상학이라는 서양학문에 따라 기상을 따지면서도 우리의 자존심은 지키고 있다고 봐야 할까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4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64
1196 [2010/04/02] 우리말) 버커리 id: moneyplan 2010-04-02 3497
1195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496
1194 [2015/03/31] 우리말) 파머 가뭄 지수 머니북 2015-03-31 3496
1193 [2015/01/14]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5-01-14 3495
1192 [2014/02/17] 우리말) 높은 난이도? 머니북 2014-02-17 3495
1191 [2010/08/30] 우리말) 선떡부스러기 moneybook 2010-08-30 3495
1190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494
1189 [2009/10/08] 우리말) 씁쓸하다 id: moneyplan 2009-10-08 3494
1188 [2013/05/01] 우리말) 4월과 4월달 머니북 2013-05-02 3493
1187 [2013/10/11] 우리말) 엠블렘 머니북 2013-10-11 3493
1186 [2009/10/13]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9-10-13 3493
1185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493
1184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492
1183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491
1182 [2014/03/11] 우리말) 어이없다 머니북 2014-03-12 3490
1181 [2012/05/17] 우리말) 마사토 머니북 2012-05-18 3489
1180 [2012/04/0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2-04-04 3489
1179 [2008/01/09] 우리말) 속긋 id: moneyplan 2008-01-09 3488
1178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488
1177 [2016/12/08] 우리말) 스리/쓰리 머니북 2016-12-12 3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