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06]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조회 수 3363 추천 수 0 2013.11.06 09:11:08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는 것을 '들르다'라고 합니다.
이 낱말과 헷갈리는 게 '듣다'의 피동사인 '들리다'입니다.

안녕하세요.

별로 하는 일도 없는데 왜이리 시간을 잘도 흘러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침에 어머니께 전화 드렸더니, 어머니도 그런 말씀을 하시네요.
날짜가 하루씩 건너뛰는 것 같다고요. 너무 빨리 간다는 뜻이겠죠. ^^*

오늘은 반가운 친구가 일터로 찾아온다고 하네요.
수원을 지나는 길에 잠깐 들르겠다고 해서 점심때 만나기로 했습니다.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는 것을 '들르다'라고 합니다.
이 낱말과 헷갈리는 게 '듣다'의 피동사인 '들리다'입니다.

'들르다'는 
친구 집에 들르다, 포장마차에 들렀다가 친구를 만났다, 술집에 들러 한잔했다처럼 씁니다.
이를 집에 들리다... 포장마차에 들렸다가... 술집에 들려...라고 쓰면 안 됩니다.
'들리다'는 음악 소리가 들리다, 천둥소리가 들리다,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처럼 씁니다.

반가운 친구를 만날 생각을 하니 아침부터 설렙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야코죽지 말고 힘내!]

안녕하세요.

흔히 우리말이 어렵다고 하죠?
그런 말을 들으면 
저는 "그것은 관심이 없어서 그렇다."라고 말합니다.
어렵긴 하지만 우리의 혼과 넋이 들어있으므로 우리가 끝까지 보듬고 가야 하는 거죠.
실은 저도 우리말을 어렵게 느끼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꾸준히 공부하잖아요. ^^*

지난 1월 중순에,
KBS 라디오에서 한 아나운서 사회자가 방송 중에 '쿠사리'란 일본말을 썼습니다.
다른 사회자가 이것을 꼬집자 "아니다. 표준어다."라고 맞받았습니다.
사실 '쿠사리'는 '면박' 혹은 '핀잔'으로 다듬어서 써야 할 낱말인데 그 아나운서가 몰랐던 거죠.
뒤늦게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방송에서 사과한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말로 밥 먹고 사는 아나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입니다. 
그러니 저 같은 사람이 어렵게 느끼는 것은 어찌 보면 마땅하죠.
그래서 공부해야하고......

쿠사리는 두말할 필요 없이 일본말이지만,
일본말처럼 보이는 우리말도 있습니다.
얼마 전에 소개해 드린 '야로'가 그렇고,
오늘 소개할 '야코죽다'도 그렇습니다.

실은 요즘 제가 자주 듣는 말이 바로 '야코죽다'입니다.
"충남대 떨어졌다고 너무 야코죽지 말고 힘내!"라는 말이죠.

'야코죽다'는 '기죽다'를 속되게 말하는 낱말입니다.
큰 호텔 가더라도 절대 야코죽지 말아라처럼 씁니다.
이왕이면 
'큰 호텔에 가더라도 기죽지마라'라고 쓰면 더 좋겠지만,
어쨌든 야코죽다가 속어일지언정 일본말은 아닙니다.

저 요즘 기죽어 있지도 않고 야코죽지도 않았습니다.
씩씩합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83
1236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518
1235 [2010/11/23] 우리말) 골덴과 코르텐 moneybook 2010-11-23 3519
1234 [2016/02/24] 우리말) 우황청심환 머니북 2016-02-25 3519
1233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520
1232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20
1231 [2009/12/23] 우리말) 슬겁다 id: moneyplan 2009-12-23 3520
1230 [2016/03/02] 우리말) 삼일절 머니북 2016-03-09 3520
1229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21
1228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521
1227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522
1226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522
1225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522
1224 [2015/03/30] 우리말) 환절기와 간절기 머니북 2015-03-30 3522
1223 [2012/09/03] 우리말) 악매 머니북 2012-09-03 3524
1222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24
1221 [2008/08/13] 우리말) 나부끼다와 나붓기다 id: moneyplan 2008-08-13 3525
1220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525
1219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526
1218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527
1217 [2009/09/17] 우리말) 움츠르다 id: moneyplan 2009-09-17 3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