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07] 우리말) 족집게와 [족찝께]

조회 수 2976 추천 수 0 2013.11.08 08:44:30

주로 잔털이나 가시 따위를 뽑는 데 쓰는, 쇠로 만든 조그마한 기구나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하여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은
'족집게'라 쓰고 [족찝께]로 읽는 게 바릅니다.
[쪽-]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학 수학능력 시험을 보는 날입니다.
많은 학생과 부모가 긴장 속에서 하루를 보낼 것 같네요.
아무쪼록 준비한 모든 것을 술술 풀어서 시험 잘 보길 빕니다.

흔히,
시험에 나올 문제를 잘 알아맞히는 것을 두고 '쪽집게 같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로 잔털이나 가시 따위를 뽑는 데 쓰는, 쇠로 만든 조그마한 기구나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하여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은
'족집게'라 쓰고 [족찝께]로 읽는 게 바릅니다.
[쪽-]이 아닙니다.

오늘 시험 보시는 분들
'족집게[족찝께]'처럼 시험에 나올 문제 잘 골라서 준비했죠?

시험 끝났다고 너무 풀어지지는 마세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동서남북? 새한마높!]

안녕하세요.

월요일입니다.
이번 주는 설이 있으니 많은 분이 고향에 가시겠군요.
저도 식구와 함께 고향에 갑니다.
저는 고향이 해남이라 남쪽으로 가지만
사람에 따라, 사는 곳에 따라 동서남북으로 갈라져 다녀오시겠죠?
고향 잘 다녀오시라고 오늘은 동서남북 이야기나 좀 풀어볼게요.

높새바람, 샛바람, 마파람 들어보셨죠?
뜻은 정확히 모르지만 들어는 보셨다고요? ^^*
높새바람은 "북동풍"이고,
샛바람은 "동풍",
마파람은 "남풍"입니다.

실은 우리말에 동서남북을 이르는 낱말이 있습니다.
東西南北은 한자이고,
우리말로는 새한마높입니다.
동이 새,
서가 한,
남이 마,
북이 높입니다.

따라서,
새바람에서 온 샛바람은,
새가 동이라는 뜻이므로 동쪽에서 부는 바람이고,
마바람에서 온 마파람은,
마가 남이라는 뜻이므로 남쪽에서 부는 바람입니다.
높새바람은,
높이 북, 새가 동이므로,
북동쪽에서 부는 바람이죠.

우리말에
동서남북을 뜻하는 새한마높이 있다는 게 어찌 보면 신기하게 보이죠?
우리가 우리 것을 이렇게 모르고 있습니다.

반성합시다. ^^*

우리말123


[댓글]
sam2???@hanmail.net

우리말 새한마높의 어원을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옛사람들은 동풍=춘풍(春風 봄바람), 서풍=추풍(秋風 가을바람), 남풍=하풍(夏風 여름바람), 북풍=동풍(冬風 겨울바람)으로 인식했습니다.
또,
동풍은 [동이 트다=날이 새다]에서 ‘새’를 가지고 와서 샛바람이라 합니다.
서풍은 [중국이 있는 방향에서 부는 바람=天風=하늘 바람]로 되어 하늬바람이라 합니다.
남풍은 [우리나라의 집들이 남쪽을 마주 바라다보고 있기에 마주 보이는 곳에서 부는 바람]이라 하여 맞바람=>마파람이 됩니다.
북풍은 [집 뒤에는 대개 산을 등지고 있기에 산 위 높은 곳에서 부는 바람]의 의미인 높바람이 됩니다.
다른 건 다 몰라도 하늬바람은 좀 찜찜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8
2376 [2015/11/04] 우리말) 벗바리 머니북 2015-11-05 3030
2375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3033
2374 [2008/07/14] 우리말) 아름답다 id: moneyplan 2008-07-14 3034
2373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34
2372 [2009/12/11] 우리말) 잎과 닢 id: moneyplan 2009-12-11 3034
2371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034
2370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035
2369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035
2368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036
2367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3036
2366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3036
2365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037
2364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38
2363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038
2362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3038
2361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039
2360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039
2359 [2014/01/29] 우리말) 커피 나오셨습니다 머니북 2014-01-29 3040
2358 [2015/11/02] 우리말) 생무지 머니북 2015-11-02 3040
2357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