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11] 우리말) 영상

조회 수 3700 추천 수 0 2013.11.11 09:49:24

우리말에 '영상(英爽)'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시형 님이 편역하신 '스키너의 마지막 강의' 209쪽에 보면
많은 걸 일구고 자녀들을 잘 키워내 존경받는 삶, 건강하게 장수하다 조용히 가신 분의 초상을 일컫는 낱말로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상가에 다녀오느라 해남에 갔다 왔더니 주말이 다 가버렸네요.

우리말에 '영상(英爽)'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영상하다'를 올려 "얼굴이 시원스럽게 잘생기다."는 뜻를 지닌 그림씨(형용사)로 풀었지만,
이시형 님이 편역하신 '스키너의 마지막 강의' 209쪽에 보면
많은 걸 일구고 자녀들을 잘 키워내 존경받는 삶, 건강하게 장수하다 조용히 가신 분의 초상을 일컫는 낱말로 나와 있습니다.

지난주에 돌아가신 친구아버님을 보면서 그 낱말을 떠올렸습니다.
오늘이 발인이네요.
친구 아버님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모순과 비각]

안녕하세요.

토요일이라 좀 늦게 나왔습니다.

오늘도 어제 받은 편지를 하나 소개할게요.
저는 하루에 백여 통의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는 제가 가끔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저의 잘못을 꼬집어 주시는 것도 있지만,
오늘 소개해 드리는 편지처럼 조금 거시기한 것도 있습니다.

제목 : 참나~~ 

맞춤법이 틀려서 사람구실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의사소통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죽을죄를 지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인격이 모자랐나?
맞춤법이 틀려서 애를 못 키웠나?
맞춤법이 틀려서 남에게 피해를 줬나? 
맞춤법이 틀려서 학업을 못 이루었나?
자기엄마 맞춤법 틀린건 감격스럽고 용서가 되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고,,,
이보슈~~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쓰고 발음한다 해서
진정 그 사람이 당신같은 사람한테 욕을 먹어야 하는것이오?
그 억지스러운 비하 좀 이젠 그만두시는게 어떻소?
글쎄,,, 
매번 느끼지만 맞춤법이야 낸들 모르겠지만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은 못되 보이고
왠지 잘난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사람으로 보이오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 


이 편지를 읽고 또 읽었습니다.
제 어머니가 쓰신 편지를 아시는 것을 보면 
아마도 우리말편지를 꽤 오래전부터 받아보신 것 같은데...
뭐라 할 말이 없네요.
겸손해야 하는 것은 마땅하지만...

제가,
저희 어머니 맞춤법 틀린 건 감격스럽게 보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지는 않은 것 같은데...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하는 분에게 욕을 한 것 같지도 않고...
제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이 아닌 것은 맞지만,
제가 잘난 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인 것 같지는 않은데...
뭐 어쨌든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라고 하시니
더 겸손해지도록 힘써야겠군요.

우리말편지 보내는 것도 이런 점에서 보면 쉽지만은 않습니다. 
오늘은 모순 이야기나 할게요.
그냥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고싶네요. ^^*

모순(矛盾) 아시죠?
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이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기에,
그럼 그 창으로 그 방패를 뚫어 보시라고 했다는 데서 나온 게 바로 모순입니다.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한 데서 나온 거죠.

이 모순과 비슷한 말이 우리말에도 있습니다.
바로 '비각'입니다. 한자가 아니라 순 우리말입니다.
사전에 나온 뜻은,
'물과 불처럼 서로 상극이 되어 용납되지 아니하는 일'을 뜻합니다.
어떤 창도 막을 수 있는 방패와 모든 방패를 뚫을 수 있는 창이 함께 할 수 없듯이,
물과 불 또한 함께할 수 없습니다.

비각...
왠지 오늘은 그 생각이 드네요.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3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58
1016 [2008/10/06] 우리말) 꿩 먹고 알 먹고... id: moneyplan 2008-10-06 3503
1015 [2007/04/27] 우리말) 새벽에 일어나셨나요? id: moneyplan 2007-04-27 3503
1014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502
1013 [2016/04/28] 우리말) '~다시피'와 '~다싶이' 머니북 2016-04-29 3502
1012 [2015/12/07] 우리말) 폐쇄공포증 -> 폐소공포증 머니북 2015-12-07 3502
1011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3502
1010 [2014/06/20] 우리말) 노랫말의 반칙 머니북 2014-06-20 3501
1009 [2009/08/20] 우리말) 깨단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501
1008 [2011/12/23] 우리말) 크리스마스와 성탄절 머니북 2011-12-23 3500
1007 [2013/11/06]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3-11-06 3500
1006 [2012/01/16] 우리말) 애기 머니북 2012-01-16 3499
1005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99
1004 [2016/11/09] 우리말) 허겁지겁/헝겁지겁 머니북 2016-11-12 3498
1003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498
1002 [2011/01/26] 우리말) 설과 구정 moneybook 2011-01-26 3498
1001 [2011/01/24] 우리말) 모포와 담요 openmind 2011-01-24 3498
1000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3498
999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498
998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497
997 [2008/03/10] 우리말) 트롯이 아니라 트로트 id: moneyplan 2008-03-10 3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