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조회 수 4771 추천 수 0 2013.11.14 08:33:51

흔히 이삿날을 택할 때, ‘손 없는 날’을 가려서 정한다. ‘손 없는 날’은 음력으로 날짜를 셀 때, 아흐레와 열흘이 들어간 날(9, 10, 19, 20, 29, 30)을 가리킨다. 이때의 ‘손’은 날수를 따라 네 방위로 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한다는 귀신이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춥다고하네요.

오늘은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이신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고자 합니다.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_성기지 학술위원

우리는 흔히 ‘금요일’을 ‘금요일날’로 말하거나 ‘8일’을 ‘8일날’로, ‘30일’을 ‘30일날’로 말하는 버릇을 가지고 있다. 그저 ‘금요일’이나 ‘30일’이라 하면 되는 것을 왜 ‘금요일날’, ‘30일날’로 말하는 버릇을 갖게 되었을까?

이는 우리의 전통적인 날짜 가리킴말에서 옮아 온 것이다. 비록 한자말 ‘일일, 이일, 삼일, …’에 밀려나긴 했지만, 우리 선조들은 ‘초하루, 초이틀, 초사흘, …’이라 말했다. 이를 달리, ‘초하룻날, 초이튿날, 초사흗날, …’이라 말하기도 했는데, 바로 이 때문에 ‘일일, 이일, 삼일’이라 말할 때에도 ‘일일날, 이일날, 삼일날’로 잘못 말하게 된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는 날짜를 상대적으로 가리킬 때에는 ‘오늘,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어제, 그제, 긋그제, …’와 같이 고유어를 지켜서 쓰고 있지만, 절대적 가리킴말에서는 고유어들이 차츰 힘을 잃어 가고 한자말들이 거의 굳어져 가고 있다. 예전에는 ‘초하룻날, 초이튿날, 열하룻날, 열이튿날’처럼 말했었지만, 지금은 흔히 ‘일일, 이일, 십일일, 십이일’처럼 말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말 날짜 세기에서, ‘일일’(1일)부터 ‘이십구일’(29일)까지는 ‘초하루, 초이틀, …, 스무아흐레’처럼 말하지만, ‘삼십일’(30일)은 ‘서른날’이 아니라 ‘그믐날’이라 한다. 또한, 1일부터 9일까지의 우리말은 ‘하루, 이틀, 사흘, …, 아흐레’가 아니라, ‘초하루, 초이틀, 초사흘, …, 초아흐레’라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흔히 이삿날을 택할 때, ‘손 없는 날’을 가려서 정한다. ‘손 없는 날’은 음력으로 날짜를 셀 때, 아흐레와 열흘이 들어간 날(9, 10, 19, 20, 29, 30)을 가리킨다. 이때의 ‘손’은 날수를 따라 네 방위로 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한다는 귀신이다.

음력으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을 ‘동짓달’, 한 해의 마지막 달을 ‘섣달’이라고 한다. 정월 초하룻날을 ‘설날’이라고 하는데, 이는 ‘섣+날’이 변한 말이다. 전통적인 우리말 날짜 세기로 ‘섣달 그믐날’이라고 하면, 음력 12월 30일을 가리킨다. 한 해의 마지막 달을 ‘섣달’이라 하고, 30일은 ‘그믐날’이라 한다. 우리 선조는 이처럼 음력으로 그 해의 12월 말일을 ‘섣달 그믐’으로 불러 왔다. 그러니까 섣달 그믐날의 바로 다음날이 정월 초하루이고, 이 날이 음력 설날이다.

고맙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애호박/늙은 호박]

어제는 날씨가 끄물끄물(꾸물꾸물이 아닙니다.)하더니,
오늘은 출근길에 신호등이 안보일 정도로 안개가 짙게 끼었네요.
오늘 하루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면서 잘 보내시길 빕니다.

얼마 전에 '마르지 않은 붉은 고추'를 뭐하고 하는지를 문제로 내 드린 적이 있습니다.
답이 풋고추가 아니라 '물고추'였습니다.

오늘은 호박이야기입니다.
'덜 여문 어린 호박'은 '풋호박'이 아니라 '애호박'이라고 합니다.
그럼,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은 뭐라고 할까요?

실은,
며칠전 제가 어느 집에 가서 본 호박이 바로 그 호박이었습니다.
나중에 약으로 해 드시려고 놔둔 것 같았습니다.
거 참 맛있게 보이더군요. ^^*

오늘 이야기로 돌아와,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은 뭐라고 할까요?
참고로 '늙어서 빛이 누렇게 된 오이'는 '노각'이라고 합니다.

답은...

우리말123

보태기)
답은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은
'청둥호박'입니다.

좋은 우리말 몇 개 더 소개해 드릴게요.
굴타리먹다 : 참외, 호박, 수박 따위가 땅에 닿아 썩은 부분을 벌레가 파먹다.
머드러기 : 과일이나 채소, 생선 따위의 많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것. 
수북한 사과 더미 속에서 머드러기만 골라 샀다처럼 쓰시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20
2396 [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머니북 2017-08-31 4862
2395 [2008/01/24] 우리말) 초등학교 교육을 영어로 하겠다고요? id: moneyplan 2008-01-24 4858
2394 [2007/02/20] 우리말) 척사대회 --> 윷놀이 id: moneyplan 2007-02-20 4858
2393 [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8-07-25 4852
2392 [2007/04/20] 우리말) 일자와 날짜 id: moneyplan 2007-04-20 4850
2391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849
2390 [2017/11/22] 우리말) 머니북 2017-11-23 4844
2389 [2017/11/09] 우리말) 사열 머니북 2017-11-10 4841
2388 [2007/03/17] 우리말) 건배:건배, 이끔소리, 함께소리 id: moneyplan 2007-03-19 4839
2387 [2014/09/05] 우리말) 바빠/바뻐 머니북 2014-09-05 4835
2386 [2011/08/26] 우리말) 충돌과 추돌 머니북 2011-08-26 4834
2385 [2006/12/16]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id: moneyplan 2006-12-18 4834
2384 [2013/02/14] 우리말) 자잘못과 잘잘못 머니북 2013-02-14 4833
2383 [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id: moneyplan 2007-01-29 4821
2382 [2007/08/19] 우리말) 농산물생산이력 id: moneyplan 2007-08-20 4815
2381 [2006/11/12] 우리말) 지금 집을 사면 낭패라죠? id: moneyplan 2006-11-13 4812
2380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811
2379 [2006/11/07] 우리말) 날씨가 꽤 춥네요. 그렇다고 너무 웅숭그리지 마세요 id: moneyplan 2006-11-07 4809
2378 [2008/03/04] 우리말) 내디딘과 내딛은 id: moneyplan 2008-03-04 4808
2377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