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27]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조회 수 3263 추천 수 0 2013.11.28 11:37:08

'녘'은 "어떤 때의 무렵"으로 새벽녘이나 저물녘은 합성어로 그렇게 쓰지만,
'저녁'은 '녘'을 쓰지 않습니다. 그냥 '저녁'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눈이 내릴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눈이 없어서 좀 실망했습니다. ^^*

저는 오늘 저녁에 조치원에 갑니다.
예전에 국무조정실에서 함께 일했던 사람들이 다시 만나서 오구탕을 치기로 했거든요.
아마 조치원이 들썩거릴 겁니다. ^^*

"해가 질 무렵부터 밤이 되기까지의 사이"를 '저녁'이라고 하는데요. 
이를 '저녘'이라고 쓰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아마도 새벽녘이나 저물녘 때문에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녘'은 "어떤 때의 무렵"으로 새벽녘이나 저물녘은 합성어로 그렇게 쓰지만,
'저녁'은 '녘'을 쓰지 않습니다. 그냥 '저녁'입니다.

오늘 '저녁'에 예전에 함께 일했던 동료를 만날 생각을 하니 설레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족치다]

오늘은 족치다를 소개해 드릴게요.
왜 족치다를 소개하게 되었는지는 차마 말씀드릴 수 없고...^^*

족치다가 무슨 뜻인지 아시죠?
'견디지 못하도록 매우 볶아치다.'는 뜻으로,
범인을 족쳐 자백을 받다, 그 사내를 잡아서 족쳐야 한다처럼 씁니다.

이 '족치다'는 '족대기다'에서 온 말입니다.
족대기다나 족치다나 뜻은 거의 같은데,
몹시 족대기는 것을 족치다고 하니까
족치다가 좀더 심하게 볶아치는 것이겠죠.

이런 말에는,
다그치다, 몰아치다, 볶아치다, 잡도리하다, 죄어치다, 종애 곯리다, 직신거리다가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표준말이고,
다 근거가 있는 말입니다.

아래는 근거가 없거나 약한 말입니다. ^^*
1.
족치다는 足치다에서 온 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옛날에 결혼식에서 신랑을 거꾸로 매달아놓고 북어로 발바닥을 쳤는데
여기에서 유래했다는 것이죠.
http://www.korean.go.kr/nkview/nknews/200412/77_1.html

2. 
'족대'는 '궤나 장·상자 따위를 놓을 때, 그 밑에 건너 대는 널.'인데,
이 널빤지로 사람을 괴롭히는데서 족대기다가 나왔다는 설도 있습니다.

시쳇말로 믿거나 말거나 입니다. ^^*

날씨가 무척 추울거라고 하네요.
건강조심하세요.

우리말123

보태기)
다그치다 : 일이나 행동 따위를 빨리 끝내려고 몰아치다.
몰아치다 : 기를 펴지 못할 만큼 심하게 구박하거나 나무라다.
볶아치다 : 몹시 급하게 몰아치다.
닦달하다 :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
잡도리 : 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 족치는 일
죄어치다 : 재촉하여 몰아대다.
종애 곯리다 : 남을 속이 상해 약오르게 하다
직신거리다 : 짓궂은 말이나 행동으로 자꾸 귀찮게 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2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88
876 [2009/12/29] 우리말) 눈부처 id: moneyplan 2009-12-29 3331
875 [2009/12/21] 우리말) 댓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12-21 3331
874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330
873 [2009/11/02] 우리말) 대강 넘기려고... id: moneyplan 2009-11-02 3329
872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328
871 [2013/08/27] 우리말) 넘늘이 머니북 2013-08-27 3328
870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328
869 [2014/07/01] 우리말) 미어지다 머니북 2014-07-01 3327
868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3327
867 [2009/08/17] 우리말) 물때와 통행시간 id: moneyplan 2009-08-17 3327
866 [2008/08/18] 우리말) 늘상과 늘 id: moneyplan 2008-08-18 3326
865 [2016/01/22] 우리말) 불빛 비칠 때와 비출 때 머니북 2016-01-22 3325
864 [2009/08/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8-14 3325
863 [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id: moneyplan 2008-04-01 3325
862 [2016/07/25] 우리말) 사뜻하다 머니북 2016-08-10 3324
861 [2012/08/22] 우리말) 어슴푸레/아슴푸레 머니북 2012-08-22 3324
860 [2016/01/04] 우리말) 순우리말 지명 점차 사라져 머니북 2016-01-04 3323
859 [2008/01/02] 우리말) 산소리 id: moneyplan 2008-01-02 3323
858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22
857 [2014/08/27]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머니북 2014-08-27 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