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28] 우리말) 오지랖

조회 수 3113 추천 수 0 2013.11.28 11:37:39

'오지랖'은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입니다.
이 '오지랖'을 '오지랍'으로 쓰는 것을 봤습니다.
오지랖이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눈이 내리면 좀 포근할 것 같기도 한데, 바람만 불어 더 추운 것 같습니다.

아침에 받은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보니 '침묵하는 법'이 나와 있네요.

우리가 갖고 있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우리가 
조용히 있지 못하기 때문에 오는 것이다. 
우리는 침묵하는 법을 알지 못한다. 
- 릭 워렌의《하나님의 인생 레슨》중에서 -

* 때때로 
침묵이 필요합니다.
침묵하는 법만 알아도
깨달음의 절반은 이룬 셈입니다.
침묵해야 고요해지고, 고요해야
타인의 소리, 하늘의 소리도 들립니다. 


어쩌면,
우리는 말을 너무 많이 하고 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무 말을 안 하는 것도 문제지만, 낄 데 안 낄 데 가리지 않고 나서는 것도 문제입니다.
오지랖이 넓은 것도 적당해야지….

'오지랖'은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입니다.
이 오지랖이 넓으면 두루 여미기에 좋을 수는 있지만,
지나치게 아무 일에나 참견하는 것은 좀….

이 '오지랖'을 '오지랍'으로 쓰는 것을 봤습니다.
오지랖이 바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햇빛, 햇볕, 햇살]

어제는 햇볕이 참 좋았죠?
아침에 안개가 낀 걸 보니 오늘도 날씨가 좋을 것 같습니다.

밖에 나가서 쬐는 해의 따뜻한 기운이 
햇볕일까요, 햇빛일까요?
아주 쉽게 가를 수 있는데도 가끔은 헷갈립니다.

햇볕은 해에서 나오는 따뜻한 기운이고,
햇빛은 해에서 나오는 밝은 빛입니다.

쉽죠?
그럼 아래를 갈라보세요.
햇볕이 따뜻하다, 햇빛이 따뜻하다.
햇볕에 옷을 말린다, 햇빛에 옷을 말린다.
햇볕을 잘 받아야 식물이 잘 자란다, 햇빛을 잘 받아야 식물이 잘 자란다.
가르실 수 있죠?

답은,
햇볕이 따뜻하다,
햇볕에 옷을 말린다,
햇볕에 그을리다,
햇빛을 잘 받아야 식물이 잘 자란다입니다.

내친김에,
'해가 내쏘는 광선'은 햇살입니다.
따가운 여름 햇살/햇살이 퍼지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햇볕은 해에서 나오는 따뜻한 기운이고,
햇빛은 해에서 나오는 밝은 빛이며,
햇살은 해가 내쏘는 광선입니다.

오늘의 문제,
눈부신 햇살? 햇빛? 햇볕?
어떤 게 맞을까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75
256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107
255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107
254 [2012/03/16] 우리말) 일쩝다 머니북 2012-03-16 3106
253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106
252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3105
251 [2015/07/20] 우리말) "농업, 일제용어 정리해야 진정한 광복" 머니북 2015-07-20 3105
250 [2014/12/22] 우리말) 빌리다와 빌다 머니북 2014-12-22 3105
249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3104
248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104
247 [2013/12/04] 우리말) 당초에 머니북 2013-12-06 3104
246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103
245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3103
244 [2010/10/13] 우리말) 달걀노른자처럼 샛노란 색 moneybook 2010-10-13 3103
243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3101
242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3101
241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99
240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3099
239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97
238 [2016/10/26] 우리말) 뜨덤뜨덤 머니북 2016-11-01 3097
237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