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조회 수 3484 추천 수 0 2013.12.04 07:59:25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이나 '채신머리'입니다.
한자가 아닌 순우리말입니다.
이를 體身으로 생각해서 '체신'이나 '체신머리'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포근하네요.
이렇게 포근한 날씨처럼 기분 좋은 일이 자주 일어나길 빕니다.

요즘 제 일터에는 올 한 해 수행한 과제를 평가하고자 외부 손님들이 많이 오십니다.
직원들은 평가를 받는 거라서 몸가짐이나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

처신(處身)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을 뜻합니다.
처신이 바르다, 처신을 잘해야 남에게 귀염을 받는다처럼 씁니다.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이나 '채신머리'입니다.
한자가 아닌 순우리말입니다.
이를 體身으로 생각해서 '체신'이나 '체신머리'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손님 앞에서 채신머리없이 구는 것도 문제지만,
속 빈 강정이면서 억지로 채신머리를 세우려고 하는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쉼표와 마침표]

어제는
오랜만에 집에서 쉬면서 
동료 식구를 저희 집으로 불러 재밌게 놀았습니다.

잡채로 일단 입을 좀 푼 뒤,
매운탕과 낙지볶음으로 속을 채웠습니다.
마땅히 곡차도 곁들여서...^^*

저는 어제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 따위를 먹었는데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잡채?매운탕?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오늘은 가운뎃점과 쉼표의 쓰임을 갈라볼게요.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가운뎃점을 다음과 같은 때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 
(보기) 철수·영희,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보기)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보기)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가운뎃점을 씁니다.

그리고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씁니다. 
(보기)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어제 저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을 안주로 먹었고,
소주·맥주 같은 곡차를 마셨습니다.
(실은 복분자술을 마셨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은 온점, ','은 반점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온점, 반점보다는
마침표, 쉼표가 더 낫지 않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2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20
856 [2013/11/07] 우리말) 족집게와 [족찝께] 머니북 2013-11-08 3094
855 [2013/11/08] 우리말) 결혼과 혼인 머니북 2013-11-08 3786
854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62
853 [2013/11/12] 우리말) 잿밥과 젯밥 머니북 2013-11-12 3449
852 [2013/11/13] 우리말) '계란 껍질' 머니북 2013-11-13 3581
851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72
850 [2013/11/15] 우리말) 잠 이야기 머니북 2013-11-15 4100
849 [2013/11/18] 우리말) 멀거니와 멀겋다 머니북 2013-11-18 3391
848 [2013/11/19] 우리말) 웬과 왠지 머니북 2013-11-19 3585
847 [2013/11/20] 우리말) 주의와 주위 머니북 2013-11-20 3228
846 [2013/11/21] 우리말) 싫증과 실증 머니북 2013-11-21 3430
845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29
844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64
843 [2013/11/26] 우리말) 며칠 머니북 2013-11-27 3195
842 [2013/11/27]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3-11-28 3312
841 [2013/11/28] 우리말) 오지랖 머니북 2013-11-28 3097
840 [2013/11/29] 우리말) 오구탕 머니북 2013-11-29 3250
839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95
» [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머니북 2013-12-04 3484
837 [2013/12/04] 우리말) 당초에 머니북 2013-12-06 3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