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조회 수 3175 추천 수 0 2013.12.31 08:16:28

한자 없이 사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될 수 있으면 깨끗한 우리말을 쓰려고 힘써야 하고,
어떤 낱말이 일본말 찌꺼기인지 가려내기가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그런 낱말을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몇 시간 뒤면 2013년이 역사 뒤편으로 물러갑니다.
한 해를 보내면서, 올 한 해 뭘 했는지 반성해봅니다.

다른 것을 몰라도,
우리말 사랑은 꾸준히 실천한 것 같습니다. ^^*

저는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좋고,
일출보다는 해맞이가 더 좋습니다.

한자 없이 사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될 수 있으면 깨끗한 우리말을 쓰려고 힘써야 하고,
어떤 낱말이 일본말 찌꺼기인지 가려내기가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그런 낱말을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한다고 봅니다.

나라말이 바르고 깨끗해야, 그 나라 사람도 바르고 깨끗해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내년에도 꾸준히 우리말을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참,
아직도 제가 누군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제가 일하는 곳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잇습니다.
저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일하는 연구원입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uhAxoefguWs&feature=c4-overview&list=UUkUGlD4UvteQueE0GipvaPw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단출, 차지다]

눈이 참 예쁘게 내리고 있네요.
어젯밤은 불타는 금요일로 전투가 무척 치열했습니다.
덕분에(?) 오전에는 집에서 계속 자다가 이제야 일터에 나왔습니다.
어떻게 된 게 정초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전투를 치르네요.
올 한 해가 걱정됩니다.

아침에 쓰린 속을 잡고 거실에 누워 텔레비전을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자막이 제 속을 더 쓰리게 만들더군요.

오늘은 MBC를 좀 씹겠습니다.
11:3분
강원도 태백에 있는 식당을 찾아가서,
노부부가 단촐하게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했는데,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의 낱말은 '단촐'이 아니라 '단출'입니다.

11:10분
만두소를 찰지게 하고 피를 잘 붙게 만드는 것이 뭐냐는 문제를 냈는데,
"반죽이나 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다."는 뜻의 낱말은 '찰지다'가 아니라 '차지다'입니다.

11:48분
더 이상 진수성찬은 없다고 했는데,
'더 이상'은 말이 안 됩니다.
'더'는 동사 위에 얹혀서 '계속하여', '거듭하여'나
'그 위에 보태어'처럼 쓰는 부사입니다. 더와 이상을 같이 쓰면 안 됩니다.
'더는'이라고 하거나,
이보다 더한 진수성찬은 없다고 해야 합니다.

제발 정신 좀 차리고 방송을 만드시길 빕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공중에 아무렇게나 뿌려대도 되는 게 방송전파가 아닙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30
2416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119
2415 [2014/12/22] 우리말) 빌리다와 빌다 머니북 2014-12-22 3120
2414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121
2413 [2015/12/28] 우리말)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머니북 2015-12-28 3122
2412 [2010/10/13] 우리말) 달걀노른자처럼 샛노란 색 moneybook 2010-10-13 3123
2411 [2012/04/26] 우리말) 광화문 안내판 머니북 2012-04-27 3124
2410 [2015/07/10] 우리말)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합니다. 머니북 2015-07-10 3125
2409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3125
2408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126
2407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3127
2406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127
2405 [2009/07/06] 우리말) 두절개 id: moneyplan 2009-07-06 3129
2404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3129
2403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3129
2402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130
2401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130
2400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3130
2399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3130
2398 [2016/08/03] 우리말) 코스프레 머니북 2016-08-10 3130
2397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