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조회 수 2825 추천 수 0 2013.12.31 08:16:28

한자 없이 사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될 수 있으면 깨끗한 우리말을 쓰려고 힘써야 하고,
어떤 낱말이 일본말 찌꺼기인지 가려내기가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그런 낱말을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몇 시간 뒤면 2013년이 역사 뒤편으로 물러갑니다.
한 해를 보내면서, 올 한 해 뭘 했는지 반성해봅니다.

다른 것을 몰라도,
우리말 사랑은 꾸준히 실천한 것 같습니다. ^^*

저는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좋고,
일출보다는 해맞이가 더 좋습니다.

한자 없이 사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될 수 있으면 깨끗한 우리말을 쓰려고 힘써야 하고,
어떤 낱말이 일본말 찌꺼기인지 가려내기가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그런 낱말을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한다고 봅니다.

나라말이 바르고 깨끗해야, 그 나라 사람도 바르고 깨끗해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내년에도 꾸준히 우리말을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참,
아직도 제가 누군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제가 일하는 곳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잇습니다.
저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일하는 연구원입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uhAxoefguWs&feature=c4-overview&list=UUkUGlD4UvteQueE0GipvaPw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단출, 차지다]

눈이 참 예쁘게 내리고 있네요.
어젯밤은 불타는 금요일로 전투가 무척 치열했습니다.
덕분에(?) 오전에는 집에서 계속 자다가 이제야 일터에 나왔습니다.
어떻게 된 게 정초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전투를 치르네요.
올 한 해가 걱정됩니다.

아침에 쓰린 속을 잡고 거실에 누워 텔레비전을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자막이 제 속을 더 쓰리게 만들더군요.

오늘은 MBC를 좀 씹겠습니다.
11:3분
강원도 태백에 있는 식당을 찾아가서,
노부부가 단촐하게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했는데,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서 홀가분하다"는 뜻의 낱말은 '단촐'이 아니라 '단출'입니다.

11:10분
만두소를 찰지게 하고 피를 잘 붙게 만드는 것이 뭐냐는 문제를 냈는데,
"반죽이나 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다."는 뜻의 낱말은 '찰지다'가 아니라 '차지다'입니다.

11:48분
더 이상 진수성찬은 없다고 했는데,
'더 이상'은 말이 안 됩니다.
'더'는 동사 위에 얹혀서 '계속하여', '거듭하여'나
'그 위에 보태어'처럼 쓰는 부사입니다. 더와 이상을 같이 쓰면 안 됩니다.
'더는'이라고 하거나,
이보다 더한 진수성찬은 없다고 해야 합니다.

제발 정신 좀 차리고 방송을 만드시길 빕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공중에 아무렇게나 뿌려대도 되는 게 방송전파가 아닙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93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5000
2656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623
2655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294
2654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5865
2653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849
2652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558
2651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858
2650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029
2649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5971
2648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800
2647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544
2646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5971
2645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486
2644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353
2643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835
2642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857
26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5932
2640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464
2639 [2006/09/22] 우리말) 햇땅콩이 아니라 해땅콩입니다 id: moneyplan 2006-09-22 5359
2638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482
263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664